[이뉴스투데이 신하연 기자] 최근 국내 주식시장이 지지부진한 박스권에 갇혔다. ‘저가매수의 기회’라고 하기엔 무책임하고, ‘실적장세’라고 포장하기에도 모순이 많다.

덮어놓고 우량주식을 저가에 사들일 기회로 보기엔 당분간 증시 먹구름이 계속 될 전망이다. 게다가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구조 특성상 개별 기업의 실적보다는 글로벌 경기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올해 들어서만 시총이 60조원가량 증발한 ‘국민주’ 삼성전자는 지난달 1분기 역대급 실적 발표에도 한달새 8거래일이나 52주 최저가를 갈아치웠다.

반도체 수급난에도 역대 최고 수준의 실적을 내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현대차 주가도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미국의 긴축 시계가 빨라지면서 유동성이 축소되고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커진 탓이다. 금리인상 종료 시기로 예상되는 2023년 하반기까지 적어도 1년은 증시 호재가 보이지 않는다.

반면 주주환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기업에는 개미가 몰리면서 주가를 부양하고 있다.

메리츠금융지주가 대표적이다. 올해 증시 부진 직격탄을 맞아 곤두박질 치고 있는 증권주 중 유일하게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메리츠금융지주는 1~3차에 걸쳐 대규모 자사주 매입·소각을 발표했다. 지난해 5월 17일 1만6550원이던 주가가 지난 1월 5만5900원으로 신고가를 찍으며 3배 이상(237.8%) 폭등한 배경이다.

이 외에도 올 초 자사주 소각을 단행한 카카오(3000억원), 미래에셋증권(1741억원), KB금융(1500억원), 금호석유(1500억원), 신한지주(1500억원) 등이 모두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효과를 봤다.

기업의 주가를 올릴 수 있는 주주환원 정책으로는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들 수 있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주당순이익(EPS)이 올라가면서 주가 상승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기업 스스로 자사 주식을 매입하는 자사주 매입의 경우 유통되는 공급 주식 물량을 줄인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기업의 필요에 따라 다시 대량으로 매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주가가 다시 하락해 기존 주주들의 이익 개선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흔히 한국에서 주주환원 정책으로 각광받는 배당 증액보다 자사주 소각이 더 효과적인 주주환원 정책으로 꼽히는 이유다.

최근 시장에서 배당금도 상향 추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한국 상장기업 평균 배당성향이 20% 초반인데 반해 선진국은 40%대, 스튜어드십 코드(연기금과 자산운용사 등 주요 기관투자가가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기관투자가들의 의결권 행사지침)를 도입한 국가는 50%대로 한국 기업의 배당성향은 여전히 낮은 편이다.

근본적으로는 지배구조 개선도 뒷받침돼야 한다.

지배주주와 소액주주 간의 대리인 문제 등이 기업구조 개편 중에서도 물적분할 등에서 발생 되면서 최근 지배구조 문제가 이슈화되고 주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물적분할 등 기업 재편과정에서 소액주주들의 이익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분할자회사 상장을 엄격하게 제한 하는 방안 외에도 주주 평등의 원칙을 구현 할 수 있는 의무공개매수제도 도입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배주주와 소액주주 간의 간극을 좁혀나가야만 고질적인 ‘코리아디스 카운트’ 해소와 자본시장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