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준우 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 본부장이 24일 오후 케이블협회 회의실에서 지상파 UHD 방송 쟁점 사항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근하 기자>

[이뉴스투데이 이근하 기자] “방송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제작과 전송수단, TV 수상기가 필요한데 지상파 UHD 방송 개시와 관련해 이들 부분에서 제대로 진행된 것이 없다.”

지상파 UHD(초고화질) 방송 개막이 1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새 UHD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환경이 온전히 구축되지 못한데다 재송신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이 부족하다는게 중론이다.

지상파 3사(KBS·MBC·SBS)는 오는 31일부터 수도권 UHD 본방송을 시작한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지난 2월부터 시행됐어야 하나 일부 방송사가 테스트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개시 일정을 늦춰줄 것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UHD 방송은 HD(고화질) 방송보다 4배 선명한 화면과 입체적 음향 등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장기적으로 보면 지상파가 기존 방송의 틀을 벗어난 이동용 방송 서비스를 함으로써 시청자 친화적 수신환경이 조성되고 IP 기반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그러나 UHD 방송이 본격화된다 해도 실제 시청할 수 있는 가구는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거론되고 있다.

한국정보통신기술표준협회(TTA)는 지난해 6월 미국식 UHD 전송방식인 ATSC 3.0을 지상파 UHD 표준으로 선정했다. 때문에 ATSC 3.0을 적용한 2017년형 UHD TV부터는 지상파 UHD 방송 시청이 가능하나 이전 제품의 경우 불가능하다.

이전 제품 이용자들은 별도 컨버터가 있어야만 지상파 UHD 방송을 볼 수 있다. 컨버터 비용 부담은 고스란히 이용자의 몫이다. 일각에서는 컨버터 비용이 10만원 대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으나 그 이상이 될 수도 있어 수신환경 개선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지상파 재송신 이슈도 난제다. 지상파 재송신은 국내 방송환경을 감안할 때 지상파 방송사와 유료방송 플랫폼 사업자 간의 필수적인 행위로 평가받고 있다. 지상파의 경우 난시청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으면 재송신 없는 콘텐츠 전송이 어렵고, 플랫폼 사업자는 지상파 재송신 없이 타플랫폼과 경쟁 하는게 불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방송시장의 재원구조가 악화되면서 재송신 대가를 둘러싼 분쟁이 늘고 있다. 현재 유료방송사들은 지상파 방송 콘텐츠를 재송신하면서 각 방송사에 가입자당대가(CPS)를 지급하고 있다. CPS는 280원으로 시작했지만 400원 수준까지 인상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료방송에서는 UHD 방송을 계기로 지상파 방송사들이 재송신 대가를 더 인상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노창희 미디어미래연구소 부실장은 “광고시장 상황이 개선될 가능성이 낮고 이용자의 ARPU가 정체된 상황에서 현재 갈등은 더욱 첨예화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정책적 대응 방안 마련과 사업자 간 상생을 위한 자율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개선방향에 대해 단기과제와 장기과제를 제시했다. 단기적으로는 사업자간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접근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지상파 방송의 정체성을 명확히 할 수 있는 방송시장의 구조 개편이 이루어진 뒤 그에 따른 재송신 제도 개선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