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편도욱 기자] 점입가경 롯데그룹의 경영경 분쟁이 재계의 뒷통수를 치고 있다. 가뜩이나 차가웠던 광복절 기업인 특사에 대한 여론의 시선을 더욱 가라앉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광복절 특사로 현재 수감 중인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최재원 부회장, 구본상 전 LIG넥스원 부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강덕수 STX그룹 전 회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집행유예 중인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도 대상이 될 수 있다. 차가운 여론을 뚫고 정부가 광복절 특사에 재벌을 끼워 넣은 가장 주요한 이유는 기업의 투자 확대를 이끌어낼 '당근'을 만들기 위해서라는 것이 정부의 속내다.
 
하지만 이번 롯데그룹의 경영권 분쟁으로 인해 반재벌 분위기가 한국 사회 전반에 퍼지면서 투자를 결정할 수 있는 기업인들이 현장에서 다시 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는 아득히 사라져 가고 있는 상황이다.
 
롯데그룹의 경영권 분쟁은 반일 감정의 묘한 정서까지 자극하고 있다. 한국어를 못하는 롯데그룹 후계자의 모습은 그동안 한국 기업으로 롯데를 인지해 왔던 한국민들에게 깊은 실망감을 주고 있다. 오랫동안 한국에서 특혜를 받으면서 기업 활동을 하고 있는 롯데는 후계자에게 한국말도 가르치지 못한 것이다. 
 
롯데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제기도 이어지고 있다. 그룹의 운명을 결정하는 의사 결정이 일본 지주회사에서 이뤄졌다는 사실은 롯데가 일본기업이라는 보여주고 있는 증거라는 평가다. 한국 기업으로 위장된 일본기업이 진짜 롯데의 민낯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롯데가 번 돈은 일본을 배불리게 하는 것이란 주장이 제기되면서 롯데 제품 불매 운동까지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임원해임과 같은 기업경영의 중요한 의사결정이, 상법은 철저히 무시된 상황에서 오너의 말 한마디로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도 이번 롯데그룹 내분사태를 통해 확인됐다. 이는 한국의 법, 롯데의 주주, 롯데제품을 사서 지금의 롯데를 만들어낸 한국의 소비자들을 모두 무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롯데가 사기업이긴 하나 한국 사회의 토양에서 일군 사회적 산물인 만큼, 총수일가의 몇몇 사람에게 의사결정의 절대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전근대적인 시스템은 지양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0.05%의 지분으로 93조원의 자산을 소유하고 있는 현 롯데그룹의 지배구조에서 이같은 절대적 권력 행사는 불합리하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이같은 주장은 국민연금이 롯데그룹의 주요 계열사의 지분을 다량 소유한, 영향력 있는 투자자라는 점에서 더욱 힘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결론적으로 롯데그룹의 여러가지 추악한 이면을 보여준 이번 경영권 분쟁은 골육상쟁의 가족사로 해석되기 보다는 한국사회에서 보다 선진화된 기업 토양을 만들어내는 밑거름이 되어야 한다. 총수의 말 한마디보다 롯데그룹의 임직원, 롯데그룹의 소비자, 나아가 롯데그룹의 간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전 국민이 인정하는 결말이 나와야 할 것이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