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위 : 가구 / 자료: 서울시, 부동산114
[이뉴스투데이 김정일 기자] 지난 2007년 첫 도입된 장기전세주택(이하 시프트) 공급량이 올해 들어 역대 최저수준까지 떨어지면서 정책 지속성에 대한 우려감이 높아지고 있다.

시프트는 과거 오세훈 시장이 도입했던 공공형 전세주택이다. 2007~2014년까지 1~27차에 걸쳐 2만6000가구를 공급했으며, 주변 전세가격의 80% 수준에 최장 20년까지 거주하도록 공급해 무주택 서울시민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27차인 지난 6월에도 410가구 공급에 총 5803명이 접수, 평균 14.2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서울지역의 공공택지 개발여력이 크게 줄면서 신규 공급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실제 지난해에는 강서구 마곡지구 신규물량의 영향으로 6065가구가 공급됐지만, 올해는 공공택지 물량이 급감하면서 842가구 수준으로 줄어들 예정이기 때문이다.

과거 연도 별로 공공택지에서 공급된 시프트 물량 비중을 보면 △2007년 1962가구(97.32%) △2008년 2354가구(89.68%) △2009년 2269가구(69.97%) △2010년 7271가구(98.70%) △2011년 3429가구(97.17%) △2012년 706가구(84.35%) △2013년 5338가구(88.01%)로 전체 공급량의 대부분을 공공택지 물량이 차지했었다.

반면 올해는 공급예정 842가구 중 497가구(59.03%)만 공공택지 물량이다. 이는 공공택지의 물량부족이 시프트물량의 급감으로 연결되고 있으며, 추후 공급량이 더욱 감소할 가능성도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무주택 수요자의 시프트 청약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프트의 기본적인 청약조건은 '서울시에 거주하고 본인과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인 세대주'다. 하지만 경쟁이 치열하면서 입주자 선정조건은 다소 까다롭다. 우선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70%이하인 세대 중에서 해당 지역(구) 거주자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므로 시프트가 공급될 지역에 미리 거주하고 있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또한 청약저축 월 24회 이상 납입, 세대주 나이, 서울 거주기간, 신혼부부, 다자녀(3자녀 이상) 및 부양 가족 수, 장애 여부 등에 따라 가점 요건이 있는 만큼 본인의 경쟁우위 요소를 꼼꼼하게 계산해야 한다.

부동산114 윤지해 선임연구원은 "시프트 신규공급과 함께 기존 재계약물량에 대한 틈새시장도 공략할 필요가 있다"며 "예를 들어 2013년에 공급된 강서구 마곡지구의 재계약 물량이 2015년에 또 나올 가능성이 높기때문에 과거 대규모 공급이 이뤄진 공공택지의 시프트 모집공고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