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이세정 기자] 금융감독원의 부실채권 조기 상각 요청이 알려진 가운데 일부 카드사가 ‘부실’ 프레임이 씌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각 사별로 가지고 있는 부실채권·연체율이 다르고,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관리해 온 상황에서 억울한 부실 낙인이 찍힐 수 있어서다.

29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카드사에 수시 상각을 요청했다.

상각은 손해가 일어난 부실채권을 처리하는 상황으로, 손익계산서상 손익 범주에 포함되며 이익에서 공제된다. 상각 처리 되는 채권이 많아질수록 손익 하락이 커진다. 다만 연체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카드사는 이전부터 손익 하락을 감수하고 부실채권에 대비하는 예비비인 대손충당금을 지속적으로 쌓아왔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카드사들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09.9%로 모두 100%를 상회했다. 전년 말(106.7%)에 비해서도 3.2%포인트(p) 상승했다. 대손충당금 적립률을 쌓는 방식은 정상 대출 0.85%를 쌓고, 나머지도 위험도에 따라 각각 7%, 20%, 50%, 100%로 적립한다.

카드사를 비롯한 금융사는 자산을 건전성에 따라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나눈다. 이중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을 묶어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해 상각이나 매각을 통해 처리한다.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부실채권이다.

일각에선 이러한 상각 사실이 섣부른 부실 낙인을 찍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각 카드사별 연체율도 다르고, 부실채권 관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례로 지난해 3분기말 기준 우리카드(1.16%→1.36%)와 KB국민카드(1.16%→1.22%)의 연체율은 각각 0.2%포인트(p), 0.06%p 올랐다. 하나카드(1.48%→1.66%)도 0.15%p 오르는 등 제각각이다. 삼성카드는 1.1%로 변동이 없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그간 충실히 관리해왔고, 현재 추산되는 연체율도 주의가 필요할 뿐 도산과 같이 심각한 상황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상각 처리는 경영지표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상각은 부실채권 매각을 통해 오랜 기간에 걸쳐 대출 상환금을 분산하는 방식이다. 원가에 훨씬 못 미치는 돈을 받고 매각이 가능한 채널에서 거래한다.

또 손익계산서상 손익 범주에 포함되며 이익에서 공제된다. 상각처리 되는 채권이 많아질수록 손익 하락이 커진다. 

다만 금융감독원은 이번 상각에 대해 강제성 없는 요청이었다고 해명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수시 상각은 이전부터 해왔던 것”이라며 “이번 경우엔 여전업 전반에서 수시 상각 요청이 들어와 필요한 곳이 있으면 전달해 달라는 의미였다”고 설명했다. 수시 상각을 통하면 부실채권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