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이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이주민 근로자와 상생 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국민통합위원회]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이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이주민 근로자와 상생 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국민통합위원회]

[이뉴스투데이 방은주 기자] 김한길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은 26일   ‘이주민 근로자와 상생 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이주민 근로자를 노동의 수단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우리와 함께 사는 ‘새로운 우리’로서 함께 일하고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달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주민 근로자와 상생 특별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이주민 근로자 당사자와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서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해주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주민이 250만 명을 넘어서 올해는 OECD가 정하고 있는 ‘다인종‧다문화 국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실정”이라며 “250만 명이라는 숫자는 우리나라 충청남도의 인구보다 더 많은 숫자”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보다 앞서 이주민 정책을 시작한 유럽 국가에서는 이주민 유입이 많아짐에 따라서 사회통합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반면, 저출산‧고령화에 따라 해외 인력 유치를 위해 경쟁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국가들도 많아지고 있다”며 “우리나라가 선진국의 갈등과 진통을 겪지 않으면서, 국가 경쟁력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포용적이고도 품격있는 이민정책을 세밀하게 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지난해 ‘이주민 동행 특위’ 회의에서 대통령께서는 이주민에 대한 논의를 회피할 것이 아니라, 진지하게 정면으로 맞닥뜨려 고민해야 한다고 말씀하신 바가 있다”며 국민통합위원회는 특위를 통해 출생, 보육 등 이주민의 정착 단계별 지원 방안과 지역 생활에서의 이주민 참여 제고 방안을 모색해 왔음을 강조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이 2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이주민 근로자와 상생 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국민통합위원회]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이 2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이주민 근로자와 상생 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국민통합위원회]

이날 출범한 ‘이주민 근로자와 상생 특별위원회’는 김석호 특위 위원장(현 서울대 교수)을 비롯한 노민선 현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 문경희 현 국립창원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민숙원 현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위원, 박광배 현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박효민 현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 교수, 엄진영 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산업혁신연구본부장, 오경석 현 경기도 외국인인권지원센터 센터장, 이병하 현 서울시립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창원 현 이민정책연구원 연구교육실장, 장서현 현 고려대 사회학과 조교수, 장흔성 현 K-드림외국인지원센터 센터장, 정기선 현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 홍규호 현 김포 외국인주민지원센터 팀장 등 이주민 근로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전문성을 갖춘 학계‧연구계‧현장 분야 전문가가 활동한다.

특히 사업자 및 이주 배경 근로자 등 당사자와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안 마련에 집중한다. 

아울러 ▴맞춤형 인력수급 체계 구축 ▴해외 인재 유치 및 육성 ▴사업자‧근로자 상호적응 지원 ▴이주민 근로자 상생 환경 조성 등의 4가지 핵심 방향성을 가지고, 실현 가능한 정책대안을 도출해 나갈 예정이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이 2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이주민 근로자와 상생 특별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특위 위원장인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에게 임명장을 전달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국민통합위원회]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이 2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이주민 근로자와 상생 특별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특위 위원장인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에게 임명장을 전달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국민통합위원회]

김석호 특위위원장은 “사업자·이주민·일반국민 등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고, 우리 사회에 적응하고 상생하는 데 취약한 지점을 파악해,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특위를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