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이세정 기자] 국내 보험사에서 대출받은 3명 중 1명은, 3개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석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7일 '국내 보험사 대출채권의 잠재 위험 요인 점검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선임연구위원이 코리아크레딧뷰로(KCB)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차주 수 기준으로 보험사의 다중채무자 비중은 32.1%를 기록했다.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대출받은 사람으로 이른바 부실 가능성이 큰 ‘3대 취약차주’ 중 하나다.

또한 보험사 다중채무 차주의 대출잔액은 제2금융업권 중 두번째로 높았다. 저축은행(38.3%), 카드사(33.7%)보다는 낮으나, 은행(10.4%), 캐피탈(28.7%), 상호금융(14.8%)에 비해 각각 3.1배, 1.1배, 2.2배가량 높은 수준이었다.

1인당 평균 대출잔액도 약 4300만원으로, 제2금융권 중 상호금융(7500만원) 다음이다.

그 외 업권의 다중채무 차주 평균 대출잔액은 은행 5100만원, 저축은행 2000만원, 캐피탈 1600만원, 카드사 1000만원 등이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보험업권의 경우 가계대출 차주 중 다중채무자, 저신용등급층 및 저소득층 등 소위 ‘3대 취약차주’의 비중이 낮지 않다”면서 “특히 다중채무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특히 보험업권의 경우 채무 불이행자의 신용 회복률이 38.1%로, 은행(43.8%), 상호금융(57.7%)과 비교해 낮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보험사의 부실채권 금액은 8500억원, 자본총액은 168조원으로 집계됐다.

자본총액 대비 부실채권 비율은 0.5%로, 제2금융권(저축은행 40.93%, 상호금융 29.46%, 여신전문금융사 7.95%)뿐 아니라 은행(4.21%)보다도 낮았다.

반면 보험사의 대출채권 부실에 대한 손실흡수능력을 나타내는 ‘고정이하여신(연체기간이 3개월 이상인 부실채권) 대비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생명보험사가 158.1%, 손해보험사가 89.2%로 나타났다.

은행(215.3%)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낮고, 특히 일부 중소형 손해보험사의 경우 70%에도 못 미쳤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대내외 경제 금융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고금리 기조, 부동산 경기 둔화가 이어질 경우 보험사 대출채권의 잠재 위험 요인들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상시로 면밀한 모니터링과 사전적 대비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키워드
#보험대출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