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광동제약]
[사진=광동제약]

[이뉴스투데이 이승준 기자] 광동제약이 불법 리베이트가 의심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 배경으로는 최근 5년간 지급수수료가 43% 증가했다는 점이 꼽힌다. 이와 함께 연구개발비 투자 확대 등 제약회사로서 체질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15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이 단체에 따르면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는 광동제약 등 중견기업들의 부당 내부거래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벌였다. 이들 중견기업은 경영권 승계를 위한 편법적인 부의 이전, 부실 계열사 부당 지원 등 부당 내부거래 감시에 취약하다고 봤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해당 상황을 고려할 때 광동제약이 건전한 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면한 문제로 △제약회사임에도 음료 매출이 많은 점, △저조한 연구개발비 등으로 인해 제약회사로서의 성장 가능성이 불투명하다는 점을 언급했다.

실제로 연구개발비의 경우 2022년 4월 국내 주요 상장제약사 가운데 연구개발비용 투자 비중이 최하위 수준이다. 특히 매출 1조원 이상 제약사 중에서 꼴찌이며, 전체 제약사 중에서도 사실상 투자에 가장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이들은 구체적으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최근 5년간 광동제약의 사업보고서를 바탕으로 △리베이트의 가능성이 있는 판매관리비 비중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매출실적 중 음료매출이 차지하는 비중 등을 살펴봤다고 밝혔다.

먼저 음료 매출이 전체 매출의 65.4%에 삼다수 매출은 49%가 급증한 점을 지적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에 따르면 제약회사임에도 불구하고 약제류보다는 삼다수와 비타500 등 음료류(약국영업 10.6%, 유통영업 22.9%, 삼다수 31.9%)가 전체 매출의 65.4%를 차지할 정도로 높았다. 그런 가운데서도 최근 5년간 매출 증감율을 살펴보면 삼다수가 49%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또 지급수수료가 43% 증가한 점을 꼽으며 불법 리베이트 가능성을 강조했다. 이들의 조사 결과 지급수수료는 △2018년 456억여원 △2019년 527억여원 △2020년 581억여원 △2021년 674억여원 △2022년 652억여원 등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띠었다. 해당 단체는 “2018년 대비 2022년 금액은 43% 증가했다”며 “이처럼 지급수수료의 급증은 광동제약의 불법 리베이트 가능성에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주장했다.

학술활동비가 증가한 점도 의구심을 더한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판매관리비 항목 중 급여, 보험료, 임차료, 감가상각비, 대손상각비 등 실제로 회사 관리에 속하는 항목을 제외하고 리베이트에 관련이 있을 수 있다”면서 “추정 항목으로는 지급수수료, 광고선전비, 여비교통비, 운반비, 판매촉진비, 문헌제작비, 외주용역비, 접대비 등으로 볼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들의 7개 리베이트 유관항목 비용은 2018년 대비 2022년 금액이 15.9% 증가했다”며 “이 중 학술활동비는 2018년 6억2000만원에서 2022년 9억9000만원으로 58.9% 올랐으며, 판매관리비 중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상대적으로 저조한 연구개발비 비율도 꼬집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의 분석 결과를 보면 광동제약의 매출액 대비 판매관리비 비중은 평균 17.2%다. 그러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평균 0.5%에 그친다. 연구개발비 대비 판매관리비가 3배 많다는 게 해당 단체의 설명이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개발 등 투자 확대를 통해 체질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단체 관계자는 “광동제약은 신약개발 등 제약회사로서의 성장보다는 음료판매 등을 통한 기업 경영에 더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2012년에도 비타500 등 식음료 매출이 절반 안팎을 차지해 업계에서 ‘음료회사’라는 오명을 샀는데 아직까지도 여기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업 비전으로 ‘휴먼 헬스케어 브랜드 기업’을 주장하며 ‘제약과 식품 사업 중심의 사업 영역에서 브랜드 파워를 구축한다’는 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나 현실에서는 제약회사라기보다는 매출 강화를 위해 브랜드 개발에 치중하는 음료회사라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며 “이러한 오명을 벗기 위해서는 의약 개발 등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제약회사로서 명확한 기업 비전을 확립하고 연구개발비 투자비중의 확대 등 체질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