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최은지 기자] 어렸을 적부터 아침 사과는 금사과라는 이야기를 줄곧 들어왔다. 유독 아침에 먹는 사과가 건강에 좋다는 이유에서다. 같은 이유로 저녁 사과는 독사과라는 다소 극단적인 별명이 붙기도 했다. 

그런데 최근에는 시간과 상관없이 사과 그 자체만으로도 ‘금사과’라는 별명이 붙었다. 사과 물가가 급등하면서, 너무 비싸 사 먹지 못하겠다는 푸념이 섞인 별명이다. 

실제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월 사과 물가 상승률은 71.0%로 1999년 3월(77.6%)과 지난해 10월(74.7%)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70%를 넘었다. 사과 물가 상승률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1%) 간 격차는 67.8%포인트로 역대 세 번째로 컸다.

가격으로 살펴보면 금사과의 현실이 더욱 와닿는다. 사과 10kg당 도매 가격은 지난 1월 17일 사상 처음으로 9만원을 돌파했다. 전날 기준으로는 9만 1700원으로, 전년 동기(4만 1060원) 대비 123.3% 올랐다. 1년 만에 사과 값이 2배 비싸진 셈이다. 

사과만의 문제로 끝났으면 다행이지만, 통상적으로 소비자들은 비싼 과일 대신 보다 저렴한 대체제를 찾는다. 이에 따라 배(61.1%), 귤(78.1%)의 가격도 덩달아 급등하며, 지난달 과실 물가 상승률(40.6%)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간 격차는 37.5%로 나타났다. 다른 품목에 비해 과실 물가 부담이 확연히 컸다는 의미다. 

문제는 이러한 과실 물가 상승을 막을 수 있는 뾰족한 수가 없다는 것이다. 먼저, 금사과가 된 주요 배경으로는 작황 부진이 꼽힌다. 지난해 여름 폭염과 폭우, 우박 등 이상기후가 지속되면서 사과 농가에 전반적인 피해가 생겼고, 이에 따라 지난해 사과 생산량이 30% 줄어들었다. 

이에 업계 안팎에선 해결책으로 사과 수입이 거론됐다. 정부 차원에서 해외서 사과를 수입해와 치솟은 가격을 안정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과일 수입시 철저한 검역이 바탕돼야 한다며 선을 그었다. 수입으로 병해충이 유입되면 국내 과일 생산이 줄어 결국 과실 가격만 급등하게 된다는 이유인데, 사과는 아직 검역 절차가 마무리된 국가가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검역을 통과해 수입이 가능한 해외 과일을 늘리는 것으로 해결책을 내렸다. 기존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는 신선과일 6종 및 냉동·가공식품 21종 외에 만다린·두리안·파인애플주스에 추가적으로 할당관세를 적용하기로 한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이를 통해 금사과 사태를 해결할 수 있을까 묻는다면, 물음표가 여러개 붙는다. 만다린과 두리안이 사과만큼 대중적이거나 수요가 높은 과일이 아닐뿐더러, 사과를 즐겨 먹던 사람이 가격을 이유로 취향을 바꿀 지도 의문이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정부는 생산자 납품단가에 204억원, 소비자 할인에 230억원 지원을 결정, 소비자 체감 물가를 낮춘다는 전략도 펼치고 있다. 단, 이 또한 단기적으로는 소비자 부담을 덜어내는 데 일조하겠지만, 오른 가격을 인위적으로 낮추다 보면 사과 수요를 오히려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국, 사과를 포함한 과실 물가 안정은 정상적인 수확이 기반이 돼야 한다. 정부가 키위·딸기·참외 등 과채류 수확이 4월부터 본격화되면 어느 정도 과실 가격 안정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사과의 경우, 햇사과가 나오는 7월께 안정될 것으로 예측됐다. 

그렇다면 또 한 번 의문점이 생긴다. 사과 농가의 생산량이 줄어든 배경인 ‘이상 기온’은 지난해 처음 일어난 일일까. 앞으로 정부가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실효성 있는 물가 안정 정책을 체계적으로 펼쳐보길 바라본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