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사과를 고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0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사과를 고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최은지 기자] 지난해 이상 기온으로 수확량이 줄어든 사과 가격이 심상치 않다. 지난달에만 사과 물가 상승률이 무려 71%를 기록한 것이다. 이에 귤, 배, 딸기 등 대체 신선 과일부터 오렌지, 바나나 등 수입 과일까지 다양한 품목들이 사과의 대체제로서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월 사과 물가 상승률은 71.0%로 1999년 3월(77.6%)과 지난해 10월(74.7%)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70%를 넘었다. 사과 물가 상승률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1%) 간 격차는 67.8%포인트로 역대 세 번째로 컸다.

사과 가격 상승세는 전반적인 과실 물가 상승률에도 기여했다. 실제 지난달 과실 물가 상승률(40.6%)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간 격차는 37.5%로 나타났다. 이는 과실 물가 통계가 잡히기 시작한 1985년 1월 이후 약 40년 만에 가장 큰 수치로, 다른 품목에 비해 과실 물가 부담이 확연히 컸다는 의미다. 

사과 가격 급등의 주요 배경으로는 작황 부진이 꼽힌다. 사과 농가는 지난해 여름 폭염과 폭우, 우박 등 이상기후가 지속되면서 전반적인 피해를 입었고, 이에 따라 지난해 사과 생산량은 39만 4428t으로 전년 대비 무려 30.3% 줄었다. 

장기적으로 봐도 사과 가격이 과거 대비 안정화될 가능성은 적다. 국내 사과 재배 면적이 연평균 1%씩 줄어 전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재배 면적이 줄면 수요는 그대로인 데 반해, 생산량이 줄어 가격 인상 흐름이 나타난다. 

이에 업계에선 해결책으로 사과 수입을 거론한다. 정부 차원에서 해외서 물량 수급을 결정, 치솟은 가격을 안정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정부는 과일 수입 시 철저한 검역이 바탕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수입으로 병해충이 유입되면, 국내 과일 생산이 줄고 추가 비용이 들어 결국 과실 가격만 급등하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사과의 경우, 현재 11개국과 검역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검역 협상이 마무리된 곳은 한 곳도 없는 상황이다. 절차가 가장 많이 진행된 곳은 일본으로, 지난 1992년 신청이 받아들여진 이후 총 8단계 중 5단계까지 진행됐다. 다만 이 또한 2015년 일본과 배를 우선적으로 검역 협상을 진행하기로 하면서 멈춰있는 상태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2일 오전 서울 송파구 가락시장 과일 경매장을 방문해 사과를 살피고 있다. [사진=농식품부]

◇“사과 대체 과일 찾아라”

사과 가격이 치솟자, 자연스레 소비자들은 대체제를 찾기 시작했다. 문제는 해당 품목들 또한 늘어난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달 귤 물가 상승률은 78.1%로 2017년 9월(83.9%) 이후 6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배 또한 61.1%로 24년 5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복숭아는 63.2%로 기존 최고치(61.2%)를 넘어 새 기록을 썼고, 감은 55.9%로 29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참외 또한 37.4%로 13년 9개월 만의 최고였다. 이 외에도 수박(51.4%), 딸기(23.3%), 체리(28.0%) 등의 물가도 오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수입이 가능한 해외 과일을 통해 국산 과일의 수요를 대체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기존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는 신선과일 6종 및 냉동·가공식품 21종 외에도 만다린·두리안·파인애플주스에 추가적으로 할당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또 오렌지와 바나나의 경우, 한국농수산식품공사(aT)가 직수입을 추진해 싼 가격에 시장에 공급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외에도 생산자 납품단가에 204억원, 소비자 할인에 230억원 지원을 통해 소비자 체감물가를 낮춘다. 

이 같은 지원책을 전개하면서 키위·딸기·참외 등 과채류 수확이 4월부터 본격화되면 어느 정도 가격 안정이 이뤄질 것이라는 게 정부의 기대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할인 지원과 함께 할당관세 등을 활용해 수입 과일 공급을 늘려 수요를 분산할 것”이라며 “참외, 수박 등 과일을 대체할 수 있는 과채류가 본격 공급되면 사과, 배 수요가 분산되면서 가격이 어느 정도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