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고흥 K-UAM 실증 단지에 꾸려진 UAM 승객터미널. [사진=연합뉴스]
전남 고흥 K-UAM 실증 단지에 꾸려진 UAM 승객터미널.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노해리 기자] 정부가 2025년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상용화를 선언했다. 지난 2020년 6월 국토교통부가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을 발표하면서다. 5년 안팎이면 개인용 기체가 300~600미터의 낮은 고도에서 승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플라잉카’ 시대가 올 거란 막연한 계산이었을까. 2025년까지 1년여 남은 현재, UAM의 현주소를 들여다봤다. <편집자주>

①관련 법 부재에도 내년 상용화 큰소리치는 정부

② "줄이고 깎으면서 목표 그대로”···본궤도 시기 더 늦춰


내연기관차에서 전동화 시대로 전환이 한창인 현재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부분은 충전 인프라다. 도로와 교통법규 및 관련 제도가 모두 동일한 상황에서도 연료 변화만으로 온 충전 인프라 확충은 앞으로 헤쳐나가야 할 전 세계 산업계의 큰 과제가 됐다.

하물며 UAM은 땅 위의 도로를 하늘길로 바꾸고, 운용기기 역시 날개 달린 새 기체여야 한다. 이에 따른 규제, 법규도 모두 새로 만들어야 할 참이다. 더 큰 문제는 기체가 들고 나는 ‘정거장’이다. ‘미니공항’으로 불리는 버티포트(수직이착륙비행장)가 있어야 하는데, 국내 도로환경과 건물구조상 건축이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GS건설은 도심 내 버티포트 콘셉트. [사진=GS건설]
GS건설은 도심 내 버티포트 콘셉트. [사진=GS건설]

◇현대건설‧GS건설 등 버티포트 콘셉트 적극 개발

그럼에도 각 기업은 UAM 운항사업 준비에 여념이 없다. 주도하고 있는 기업은 현대차그룹, 한화시스템 등으로, AAM 기체 개발과 상용화, 버티포트 개발에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1억7000달러를 투자해 미국의 오버에어사(Overair)와 협업, K-UAM 그랜드 챌린지에 참여한다. 2027년 말까지 개발 중인 버터플라이(Butterfly) 기체 인증을 완료해, 같은 해 연말부터 양산 및 국내 상용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AAM 산업을 위해 먼저 미국에 자회사인 슈퍼널(Supernal)을 설립해 미국에서 SA-1 기체를 개발, 제작해 FAA 인증을 추진할 예정이다.

주요 건설사들 사이에서의 버티포트 콘셉트 발표는 특히 뜨겁다. GS건설은 최근 LG유플러스. 카카오모빌리티와 ‘UAM(도심항공교통) 퓨처팀’ 컨소시엄을 이뤄 8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4 드론쇼 코리아’에서 버티포트 콘셉트 디자인을 선보였다.

LG유플러스와 협업관계인 GS건설은 도심 내 버티포트 구축 방식에 따라 △리모델링형 △신축형 △1-레이어(layer) 모듈러형 △2-레이어 모듈러형 등 4가지 유형에 대한 개념 설계안을 제시했으며, 이들은 올 하반기 실증비행도 수행할 계획이다.

현대건설도 일찍이 현대차와 손잡고 버티포트 디자인을 공개, 실증사업에 착수했다. 현대건설은 지난 2022년 11월 한국 도심 버티포트 유형을 △공항연계형 △빌딩상부형 △복합환승센터형 △개활지 모듈러형 4가지로 구분해 공개했다. 기존 공항터미널 인프라와 도심 건축물 옥상부, 버스터미널 상부, 넓은 지형 등을 활용한 각 유형에 대한 개념 설계안을 제시했다.

각 건설사 관계자는 “버티포트는 기체, 교통관리와 더불어 UAM 생태계 조성을 위한 필수 영역으로 이번 프로젝트는 UAM 인프라 사업의 확대를 위해 국내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버티포트 사업모델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시스템이 개발 중인 UAM 기체 '버터플라이'. [사진=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이 개발 중인 UAM 기체 '버터플라이'. [사진=한화시스템]

◇사업성 없으면 중도하차 가능성도…국토부 “대비책 마련 중”

그러나 이 같은 청사진에 비해 뚜렷하게 가시화된 부분이 없다는 건 큰 리스크다. 내년 상용화를 앞두고 대기업들이 앞장서고 있지만, 사업성이 없고 상용화가 지지부진할 경우 중도하차할 가능성도 있다.

이런 부분에 대해 국토교통부도 상당한 우려와 동시에 이른 상용화를 위한 대비책을 마련 중이다. 현재 UAM 특별법에 규정한 UAM 사업 카테고리를 크게 교통, 물류, 공공, 관광 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그 안에서도 좀 더 구체적인 세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업계는 바로 시장이 창출하지 못하고 본격적으로 시장이 열릴 때까지는 물리적인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정된 예산도 문제다. 현재 국토부 예산 56조 중 UAM에 배치된 건 1200억원 안팎이다. 국토부는 사업성 개선을 위해 가장 먼저 공공사업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공사업은 정부 기관이나 지자체 등과 연계한 사업으로 우선 공공사업 부문에서 UAM을 접목하는 등을 연구, 검토하는 중이다.

UAM 개발사 한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현실적으로 UAM이 바로바로 이착륙할만한 장소를 찾기가 힘들고 당장 버티포트를 구축하기에도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다”며 “기술적인 부분도 중요하지만, 실용화를 위한 충분한 예산과 규정‧정책 등의 법과 제도의 개선 등도 함께 해결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