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기자]
[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기자]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금융권을 둘러싼 잇따른 악재에 올해 금융지주의 전망도 어둡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산분리 규제’ 개선 논의가 정치권에서 공전하면서 신사업 진출 방향을 잃고 있다”면서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국내 5대 금융지주가 지난해 고금리 상황에서 막대한 이자수익을 올렸지만, 시장을 둘러싼 잡음이 이어지면서 실적 견인의 모멘텀을 찾지 못하는 이유”라고 진단했다.

부동산PF 부실과 가계부채 뇌관을 우려한 대손충당금 적립과 홍콩H지수(항센중국기업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에 따른 배상 등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산재한 가운데 인터넷전문은행을 중심으로 예금과 대출로 이동하고 있다.

은행권을 ‘공공의 적’으로 규정한 정부의 상생 압박에 경영 자율성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말 민생금융지원을 끝으로 당국의 주문이 마무리되는 듯했으나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지원압박이 커졌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상반기 ELS 손해배상금 지급이 올해 상반기 금융권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만기를 맞은 ELS 규모가 1조원을 웃도는 가운데 손실 규모도 6000억원을 넘어서면서, 불완전판매 기준과, 배상비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향후 만기가 도래하는 투자금액이 증가하면서 상반기 누적 손실액은 4조원대로 예상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투자경험이 있거나, 온라인을 통해 투자한 경우, 배상차등방식이 유력하다.

기본 배상 비율도 손실액의 20%로 거론되고 있다. 배상 비율에 따라 금융지주의 영업손실 규모도 달라진다.

올해 역시 지속되는 ‘상생금융’도 금융지주 실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의 이자장사 지적 후, 대출금리 인하 등 4대은행에서만 6000억원이 넘는 상생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이어진 ‘은행 종노릇’ 질타에 또다시 1조3000억원을 내놨지만, 최근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위한 20조원을 추가 부담한다.

지난해 5대 금융은 민생금융지원에 쓰인 비용의 60~70%를 실적에 기타 손실로 반영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정부는 은행이 아무런 노력도 없이 수익을 올렸다고 치부한다”면서 “아마도 정권이 바뀌지 않는 한 지금의 논리는 계속되고 은행에 대한 압박은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인뱅을 중심으로 예금과 대출이 이동하는 등, 은행권의 경쟁 확대도 부담이다.

대환대출플랫폼이 주택담보대출까지 서비스를 확대하면서 한달간 9772억원이 이동했다. 이중 5722억원이 카카오‧케이‧토스뱅크로 옮겨갔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해말 기준 저원가성예금은 총 625조6100억원으로 전년 말과 비교해 7조5430억원 감소했다.

반면 접근성이 높은 인뱅으로 자금이 음직였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저원가성 예금은 카카오뱅크의 저원가성 예금은 1년새 5조6870억원 증가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권 경쟁은 확대되는 반면 규제완화는 요원한 상황”이라면서 “올해 상생압박에 ELS 배상 등 실적 악화 요인이 산재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경쟁력 확보, 해외시장 진출 등 은행권의 사업 다각화에 대한 고민이 많다”고 토로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