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미국의 경기지표로 금리인하 시점이 뒷전으로 밀리면서 증시도 출렁이고 있다.

시장안정에 대한 기대감이 꺾이며서 기대에 부풀었던 증시가 관망세로 돌아서고 있다.

긴축 장기화를 예상한 대기 자금이 채권 등 안전자산으로의 이동하고 있다.

증시 반등 시점도 예측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 시점 증시 반등이 기대되지만, 여전히 더딘 물가상승률 둔화 속도와 고용 지표가 발목을 잡고 있다.

연내 연준의 목표한 물가상승률 2% 달성이 늦어질 경우, 6월 기준금리 인하도 기대하기 어렵다.

다만 장기간 이어진 과잉 긴축이 주가 급락, 부동산 대출 부실 위험성 확대로 추가적인 경기침체 우려로 작용하면서, 연준의 발걸음을 재촉할 수 있다.

3월 이후 1~2개월 개나 물가지표의 추가 둔화가 확인되면 2분기 중 금리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미국 노동통계국이 집계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했다. 생산자물가지수(PPI)도 0.9% 오르면서 시장 전망치(0.6%)를 웃돌았다. 물가가 서비스 중심으로 고공행진 중인 데다, 인플레이션이 끌어올린 임금 상승세도 여전하다.

11월 미 대선을 앞두고 금리인하의 정치적 이슈 확대도 부담이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뉴욕커뮤니티뱅코프 주가 급락 등 과잉 긴축의 부작용이 일부에서 가시화되고 있다”면서 “고금리 장기화는 물론 엄격한 은행의 대출태도로 상업용 부동산 대출 부실 리스크도 점점 더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최근 후행지표 성격의 연체율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면서 “미 연준이 디스인플레이션 추세와 함께 과잉 긴축 리스크에 대한 경계감을 갖고 금리 정책을 실시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22일 예정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9연속 3.50% 기준금리 동결도 예상되고 있다.

미 연준보다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려서 격차를 벌리기는 부담이다.

현재 한‧미금리차가 역대 최대인 2%p까지 벌어진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한은의 첫 인하 시점에 대해서는 7월 가능성이 여전히 거론됐지만, 4분기 이후로 늦춰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미 연준의 금리 인하가 시작된 이후 한은도 동조할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미국의 물가 지표가 심상치 않은 모습을 보이면서다.

불안한 국내 물가도 선택지를 좁히는 요인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2.8%로, 6개월만에 2%대로 내려오는 등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 오름세에 수입물가가 3개월만에 상승하면서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입물가는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2%대 소비자 물가 안착은 기대하기 어렵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물가상황 점검회의에서 "지정학적 리스크로 유가 불확실성이 커졌고 농산물 등 생활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면서 ”(물가가)일시적으로 다소 상승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금융권에선 연내 증시 반등을 예상하지 않고 있다. 통화 긴축 종료에도 불확실성이 계속되면서다.

금융권 관계자는 “시장환경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상황에서 금융 소비자의 단기자금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향후 통화긴축이 종료되면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옮겨갈 수 있지만 한동안 지금과 같은 움직임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