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기업들 사이에서 인력 감축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개발자 임금 상향평준화’가 꼽힌다. [사진=Freepik]
게임기업들 사이에서 인력 감축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개발자 임금 상향평준화’가 꼽힌다. [사진=Freepik]

[이뉴스투데이 이승준 기자] 팬데믹 이후로 게임업계 내 ‘개발자 모시기’ 유행이 예전같지 않다. 업계 전반의 실적 부진에 따라 인건비에 부담을 느낀 기업들이 인력 감축에 나서면서 개발자들이 설 자리가 좁아지는 추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게임기업들 사이에서는 인력 감축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팬데믹 이후 언택트 문화가 확산되며 업계는 ‘개발자 모시기’에 급급했지만 엔데믹이 도래하면서 코로나19 특수가 끝나자 인력 감축에 나선 것이다.

그 원인으로는 ‘임금 상향평준화’가 꼽힌다. 팬데믹 호황 당시 개발자들의 임금 체계는 고공행진을 그칠 줄 몰랐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살펴보면 2022년 기준으로 카카오게임즈, 크래프톤, 엔씨소프트의 개발자 1인 평균 급여액은 1억원을 초과하는 걸로 나타났다.

펄어비스, 위메이드, 넥슨, 넷마블 등을 포함한 7개사의 평균 개발자 급여는 8188만원이었다. 이마저도 팬데믹이 한창이었던 2021년의 9240만원에 비해 소폭 감소한 수준으로 알려졌다. 팬데믹을 거치며 평균적으로 1000만원 이상 올랐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그러나 팬데믹 수혜는 끝났고 업계가 얼어붙으면서 구조조정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업계 전반에 자리 잡은 실적 부진은 인력 감축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실제로 넥슨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이 어려움을 겪으며 ‘3N·2K’라는 표현도 옛말로 치부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개발자의 최저임금이 코로나를 거치면서 턱없이 올라가 원래 피라미드 구조였던 임금체계가 붕괴됐고 기본단가가 너무 비싸졌다”면서 “이제는 높은 임금 대비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모두 짐을 싸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고 봤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국내외에서 칼바람이 게임업계를 휩쓸고 있다. 먼저 ‘마이크로소프트’는 ‘블리자드’ 인수 후 3개월 만에 게임 부문에서 1900명을 감원한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는 MS 게임 부문 전체 직원 2만2000명 중에서 9%에 달하는 비중이다.

당시 인수 금액은 한화 약 92조원에 달했다. 업계에서는 대규모 합병 이후 비용 절감을 위해 인원 감축에 나선 것으로 해석한다. 필 스펜서 MS 게이밍 CEO는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중복되는 부분을 확인했다”며 “성장을 위한 최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리그오브레전드(LoL)로 익히 알려진 ‘라이엇게임즈’도 구조조정에 나선다. 라이엇게임즈는 지난 1월 23일 ‘라이엇의 미래에 대한 중요한 업데이트’라는 제목으로 직원 11%에 달하는 530명을 정리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지난 2019년부터 라이엇 게임즈는 포트폴리오 확장을 위해 큰 투자를 실행하고, 새로운 인재를 영입해 왔다. 그러나 부풀린 몸집에 비해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해 내지 못하자 결국 대규모 해고를 단행하기에 이르렀다는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국내 사정 역시 해외와 다르지 않다. 먼저 ‘엔씨소프트’는 개발 자회사 ‘엔트리브’를 폐업하고 해당 직원 70여명에게 권고사직을 통보했다. 동시에 그동안 엔트리브가 서비스하던 모바일 게임도 모두 서비스를 종료할 전망이다.

‘컴투스’도 권고사직을 진행하고 있다. 특정 게임 프로젝트나 사업 부문이 아닌 개발자 일반을 대상으로 한 구조조정이다. 이는 지난해 9월에 계열사 ‘컴투버스’ 소속 직원을 대상으로 한 희망퇴직에 이어 다시 한번 진행된 것이다.

이외에도 ‘라인게임즈’는 지난해 출시한 콘솔 게임 ‘창세기전: 회색의 잔영’ 성적 부진으로 개발 스튜디오를 해체했다. 지난해부터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한 ‘데브시스터즈’ 역시 인력 감축을 감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양상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특수가 끝나면서 게임사들의 실적이 하락세를 띠고 있는데 한번 올라간 개발자들의 몸값은 여전히 그대로”라면서 “최저임금 인플레에 빠진 인건비가 업계 전반에 인력 감축이라는 결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