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기자]
[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기자]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당국의 상생금융 압박이 금융권의 성장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해 역대급 이자‧비이자수익을 올렸지만, 과도한 사회적 책임이 발목을 잡으면서 전년 대비 하락한 실적을 기록했다.

당국의 요구에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도 전년에 다소 못 미치는 실적은 올해 역시 사회적 책임 부담을 키우고 있다.

지난해 당국의 상생금융 압박에 4대 금융지주 계열은행은 대출금리 인하와 수수료 면제 등 총 6000억원대의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하고, 하반기 1조3000억원이 넘는 민생금융지원책을 마련지만 역대급 성적표를 받았다.

8일 신한금융지주를 끝으로 마무리된 4대 지주의 지난해 당기순이익 합계는 전년(15조8056억원)보다 8374억원(5.3%) 줄어든 14조9682억원을 달성했다. 이자수익은 연간 40조6553억원으로 전년(39조6739억원)보다 2.5% 늘었고 비이자수익은 총 10조5187억원으로 48% 급증했다.

이자수익과 비이자수익만 놓고 보면, 지난해 4대 지주는 예년을 훌적 뛰어넘는 실적을 달성했다. 다만 당국의 상생 압박과 경기 불안정으로 인한 충당금 적립도 부담을 줬다.

지난해 말까지 전망되던 4대 지주의 연간 당기순이익은 16조원이 넘었으나, 4분기 민생금융지원방안 마련에 태영건설 사태로 충당금 적립 등으로 실적이 감소했다.

각 지주계열 은행은 총 1조3103억원의 소상공‧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이자 환급 등 민생금융지원책을 마련했고 약 70%를 기타손실로 처리했다.

각 은행이 마련한 자금은 KB국민은행 3721억원, 하나은행 3557억원, 신한은행 3067억원, 우리은행 2758억원 순이다.

대손충당금 역시 전년 대비 70.8% 증가하며 실적에 영향을 줬다.

4대 지주의 충당금 전입액은 단순 합산 기준 8조9931억원으로 KB금융 3조1464억원, 신한금융 2조2512억원, 하나금융 1조7148억원, 우리금융 1조8810억원이다. 전년 대비 약 40~110% 급증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은행권의 이자수익이 증가, 역대급 실적이 이어졌지만, 올해부터는 금리인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시장 여건이 좋지 않다”면서 “정부가 예대마진을 줄이고 비이자수익을 늘리라고 하지만 규제에 가로막힌 상황에서 이자수익 외 실적을 기대하기 어렵다”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상생지원과 충당금 적립에도 전년 수준의 실적을 올리면서 올해 역시 상생 압박이 예상되고 있다”면서 “은행간 경쟁 확대와 금산분리 규제완화 지연 등으로 실적개선은 기대할 수 없고 부담만 커진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올해 상황은 순조롭지 않다. 글로벌 주요국의 긴축이 완화되면서, 금리인하가 예상되고 금융사간 경쟁 확대, 예상보다 더딘 규제 완화 속도에 비이자수익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논란이 된 홍콩H지수 ELS 사태로 신탁사업도 비상이 걸렸다.

ELS 상품에 대한 논란이 커지면서 KB국민‧신한‧하나은행은 판매를 중단했고 금융소비자의 선택권 보호를 강조한 우리은행도 중단을 검토 중이다. ELS 판매 중단으로 신탁 부문 실적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파격적인 조건으로 고객을 유인하는 인터넷전문은행과의 경쟁도 부담이다. 최근 토스뱅크가 외환시장에 진출하며 ‘평생 수수료 무료’ 정책을 내놓으면서, 시중은행 역시 환전 수수료를 포기할 수밖에 없다.

앞서 카카오뱅크는 국외 송금 수수료를 10분의 1 수준으로 낮추기도 했다. 이체와 출금, ATM 수수료 역시 사실상 폐지된 지 오래다.

은행 관계자는 “당국에서 비이자수익을 늘리라고 주문하고 있지만, 신탁수수료와 외환수수료 감소가 예상되고 있다”면서 “당국이 금융권의 금산분리 등 규제 완화에 속도를 내지 않는다면 비이자수익 개선은 기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