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기간만 하더라도 가상자산을 향한 투자자의 관심은 뜨거웠다. 그러나 올해는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가상자산 시장에서 2023년은 논란이 끊이지 않는 한 해였기 때문이다. [사진=픽사베이]
팬데믹 기간만 하더라도 가상자산을 향한 투자자의 관심은 뜨거웠다. 그러나 올해는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가상자산 시장에서 2023년은 논란이 끊이지 않는 한 해였기 때문이다. [사진=픽사베이]

[이뉴스투데이 이승준 기자] 지난 한 해 동안 가상자산 시장은 여러 논란에 휩싸이면서 투자자들로부터 신뢰를 잃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같은 인식이 업계 침체로 이어진 가운데 기업 간 격차도 두드러지자 거래소들은 타개방안으로 ‘수수료 무료화’ 정책을 내세웠다. 하지만 이마저 마땅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가상자산 시장을 향한 우려의 시선이 거둬지지 않는 분위기다.

팬데믹 기간만 하더라도 가상자산을 향한 투자자의 관심은 뜨거웠다. 그러나 올해는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가상자산 시장에서 2023년은 논란이 끊이지 않는 한 해였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김남국 의원 논란, 테라·루나 사태, FTX 파산, 코인 플랫폼 ‘먹튀’ 이슈 등 연이은 사건사고로 인해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가 위축됐다고 분석한다.

이는 지표로도 드러났다. 금융위원회가 제출한 ‘가상자산 거래 계좌 운영’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가상자산거래소 고객 예치금은 전년보다 수배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해 말부터 올해 8월까지의 가상자산거래소 고객 예치금은 전체적으로 줄어든 양상이다.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줄어든 셈이다.

냉랭한 투자 민심이 수그러들지 않자 거래 이상징후 발생 시 경보를 울리도록 하는 등 자정작용에 나섰다. 그러나 회의적인 시선은 계속됐다. 업계 한 관계자는 “없는 것보단 있는 것이 낫겠지만 근본적인 해결방안이라 보기는 어렵다”며 “이른바 ‘세력’들의 ‘짜고치기’ 등에서 발생하는 정보 불균형이 가장 큰 문제인 만큼 그 부분을 먼저 손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가상자산 거래소들도 타격을 입었다. 그 영향으로 올해 내내 가상자산거래소들은 침체기를 벗어나지 못 했다.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국내 5대 원화 거래소들은 3분기까지 줄곧 전년 동기 대비 하락한 실적을 내놓았다. 4분기도 다르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이어지자 거래소들은 향후 반등 모멘텀을 찾는 데 분주해졌다.

그러나 업계 전망에는 의문부호가 붙는다. 원인은 업비트의 독주체제에 있다. 두나무의 업비트는 시장에서 상반기까지 85%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를 바탕으로 두나무는 3분기 타 거래소들이 모두 적자를 기록할 때 유일하게 흑자를 거뒀다. 공정거래법상 해당 점유율은 ‘시장지배적 사업자’에 속하는 범위이나 공정거래위원회가 가상자산거래소를 ‘통신판매사업자’가 아니라고 유권해석을 내려 제도적 장치로써 이같은 구도에 손댈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타 거래소들은 타개방안으로 ‘수수료 무료화’ 정책을 내세웠다. 해당 정책으로 이용자들의 이목을 끌어 점유율을 제고하겠다는 방침이었다. 이는 최근 일시적으로나마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졌다. 만년 2위로 꼽히던 빗썸은 지난 27일 업비트를 제치고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로 올라섰다. 빗썸이 선두를 차지한 것은 4년 만이었다.

다만 문제는 이들이 딜레마에 빠졌다는 것이다. 가상자산거래소들의 주수입원이 수수료이기 때문이다. 당장 일시적으로 점유율을 끌어올린다고 한들 이 기조를 계속 유지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이번에 수수료 무료화를 통해 선두를 탈환한 빗썸만 하더라도 3분기 매출 하락의 원인으로 ‘수수료 매출의 53% 감소’가 꼽히는 실정이다.

빗썸 관계자는 “출혈 경쟁으로 인해 비용이 계속 나가는 상태”라며 “언제까지 계속할 수 없는 정책임을 인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언젠가 다시 유료화를 도입해야 하겠지만 확실히 이전보다 경쟁력 있는 수수료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동시에 거래소 자체가 매력을 더욱 갖출 수 있도록 혜택과 대고객 서비스를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줄폐업’ 논란까지 부상했다. 캐셔레스트·코인빗 등 국내 코인거래소들이 연이어 폐업을 결정한 가운데 원화마켓들도 경영상 어려움을 겪자 이러한 분위기가 업계 전반에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이어진다. 관계자들 사이에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와 시장 신뢰성 확보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되는 이유다.

이에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내년 하반기 대규모 가상자산 사업자 갱신이 예상되는 만큼, 가상자산 시장의 건전성 확보와 이용자 보호를 위해 선제적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며 “충분히 역량을 갖춘 사업자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신고 불수리 요건을 명확히 하고, 신고 수리시 개선 필요사항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해 가상자산 업권의 건전한 생태계 조성에 일조하겠다”고 밝혔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