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염보라 기자] 올해 중국 증시는 나홀로 하락해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서의 자존심을 구겼다.

증권거래세 중 하나인 인지세를 낮추는 등 부양책을 내놨음에도 미·중 갈등 우려와 각종 반(反)기업 규제에 발목이 잡혔다.

2023년 증시 개장 첫날 이후 12월 27일 종가 기준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3116.51에서 2914.61로 약 6.48% 내렸다. 심천종합지수도 2004.12에서 1776.51로 11.36%가량 주저앉았다.

중국 본토증시와 동조화된 홍콩 항셍지수는 20145.29에서 16624.84로 더 가파르게(-17.48%) 추락했다.

상승랠리를 이어간 미국·일본·한국 등 글로벌 주요 증시와 대조적이다.

동기간 미국 다우존스지수는 13.64% 상승해 27일 연중 최고치인 37656.52로 마감했고, 일본 니케이225지수는 30.97% 폭증하며 잃어버린 30년의 설움을 털어냈다.

한국 증시도 코스피(17.43%), 코스닥(28.04%) 모두 상승곡선을 그렸다.

특히 세계 2위 경제대국 자리를 넘보고 있는 인도 SENSEX지수는 17.77% 상승하며 홍콩 지수를 넘어 시가총액 4위로 올라섰다.

인지세 인하 등 각종 증시부양책에도 탈중(脫中) 추세는 바꾸지 못한 셈이다.

중국 경제통상 전문가인 구기보 숭실대 글로벌통상학과 교수는 △미·중 갈등 확산 △반기업 규제의 영향으로 해석했다.

구 교수는 “미·중 갈등이 점차 심화되면서 중국 투자를 꺼리는 기업이 많아졌고, 중국 내부적으로 볼 때는 반간첩법이나 게임기업 통제 등 정부가 경제에 관여하는 과정 속에서 리스크 요인이 생겨났다”고 부연했다.

미국·인도 주요 주가지수(왼쪽)와 중국 본토 지수의 연간 그래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미국·인도 지수와 달리 중국 지수는 연말 바닥을 다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래프=네이버페이증권 갈무리]
미국·인도 주요 주가지수(왼쪽)와 중국 본토 지수의 연간 그래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미국·인도 지수와 달리 중국 지수는 연말 바닥을 다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래프=네이버페이증권 갈무리]

실제로 대(對)중국 투자는 빠른 속도로 감소 중이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중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는 205억 달러로 전년동기(1013억 달러) 대비 무려 80% 급감했다.

시진핑 주석의 외자 유치 노력에도 FDI 감소세는 회복되지 않았다. 시장 조사기관 윈드(Wind)가 자체 분석한 9월 대중국 FDI 감소율은 34%로 여전히 높다.

미·중 갈등 영향과 함께 지난 4월 26일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를 통과한 ‘반간첩법’ 개정안이 걸림돌이 됐다.

반간첩법 개정안의 핵심은 간첩 행위의 정의와 법 적용을 넓히고 국가안보기관의 단속 권한을 확대한 점이다. 

구기보 교수는 “국가 이익을 침해하는 경우 반간첩법 위반 대상이 된다”면서 “국가 이익이라는 범위가 상당히 넓기 때문에 기업을 하는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증시 회복 선결과제인 ‘내년 중국경기 회복’ 여부를 두고는 이견이 존재한다.

닛케이신문은 최근 계열사 퀵(QUICK)뉴스와 중국 경제 전문가 25명 대상 조사를 실시한 이후 “전년도 제로코로나 정책의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성장 동력 자체가 약해질 것이라는 견해가 높다”고 보도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이달 초 중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하면서 “중국 당국이 부채가 많은 지방정부 등에 재정을 지원해야한다는 증거가 늘고 있어 중국 경제의 광범위한 위험을 초래한다”고 밝혔다.

반면 구 교수는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도 회복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지 않은 점이 문제가 되고 있지만 그렇다고 침체로 가는 분위기는 아니다”라면서 막연한 두려움을 경계했다.

그는 “가장 문제가 되는 부동산 부문의 경우 은행의 적극적인 대출 지원, 구매 단위의 우대혜택 등을 통해 바닥을 찍고 안정 국면에 들어서고 있다”면서 “지방정부 재정 적자 리스크 역시 부동산 위기 연장선상에서 파생된 문제로 내년에는 안정 국면을 찾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증시 투자 측면에서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김희진 국제금융센터 책임연구원은 “앞으로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확장적 재정정책을 구사하고 증시 활성화 대책들을 추가 강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 증시에 대한 투자 심리가 개선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면서도 “미·중 관계 향방, 부동산경기 부진 심화 가능성, 지방정부 부채위험 등 하방리스크도 있어 중국 증시 전망의 불확실성이 높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경환 하나증권 연구원 역시 “4분기 중화권 증시는 글로벌 증시 회복에서 다시 소외되며 절대·상대적으로 극단적인 레벨까지 하락했다”면서 “정책에 대한 선제적인 배팅보다는 정책 효과 검증과 펀더멘털 확인이 먼저 필요한 상태”라고 언급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