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현대제철]
[사진=현대제철]

[이뉴스투데이 김종현 기자] 철강업계가 올해 들어 수요산업 부진으로 실적이 뒷걸음질 치고 있는 가운데 한국전력이 대용량 산업용 전기요금만을 인상하겠다고 밝히면서 고심하고 있는 모양새다. 특히 동국제강 등 전기로를 주로 가동하고 있는 철강사로서는 원가 부담이 커지게 됐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 9일부터 산업용(을) 전기요금을 kWh당 평균 10.6원 인상했다.

앞서 올해 전기요금은 두차례 인상됐다. 1월 kWh당 13.1원, 5월에는 kWh당 8월 올랐다. 여기에 4분기 인상분이 반영되면서 올해 총 31.8원 오른 셈이다.

문제는 전기요금이 오르면서 전기로를 주로 사용하는 철강사들의 연료비 부담 역시 커지고 있다. 전기요금이 kWh당 1원 오르면 철강사들은 평균 비용 부담이 100억원 가량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현대제철은 올해 초 2022년 4분기 컨퍼런스콜에서 “매년 사용하는 전기는 1만GW 정도”라며 “전기료가 kWh당 1원 오르면 100억원 수준의 가격 인상 요인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공시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올해 상반기 납부한 전력·연료비는 1조2613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2134억원) 대비 전력·연료비용이 500억원 가량 늘었다.

전기로 비중이 높은 동국제강은 타격이 더 컸다. 동국제강 연간 전기요금은 2400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기준 1277억원을 전기료로 납부했다.

올해 들어 동국제강의 전기료 역시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 한달간 사용한 전기료는 300억원이며 6개월 누적 기준으로 환산하면 지난해 대비 500억원 가량 늘어난 셈이다.

이에 대해 업계는 그간 진행해온 원가절감 노력이 전기요금 인상으로 상쇄되고 있다고 푸념하고 있다.

동국제강의 경우 전기요금이 저렴한 야간에 조업하거나 쇳물을 신속하게 뽑아내 가동시간을 줄이는 등 원가절감에 집중해왔다.

◇ 원가절감 노력, 전기료 인상으로 상쇄 우려

고로를 주로 사용하는 포스코 역시 탄소 중립을 위해 전기로 신설 및 비중을 늘리고 있는 상황에서 인상된 전기요금이 발목을 잡고 있다.

포스코는 오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광양제철소에 전기로를 신설하고 있다. 현대제철 역시 고로가 아닌 전기로를 통해 차량용 초고장력 판재를 개발하며 전기로 비중을 늘리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전기로로 주로 생산되는 H형강·철근 등이 건설 등 전방산업 수요부진 지속으로 가격 인상이 쉽지 않아지면서 철강업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1~9월 H형강 출하량(207만톤)은 전년동기 대비 13.2% 감소했고 철근(695만톤)도 4.6% 줄었다. 9월 들어 출하량은 감소폭이 더 확대됐다. H형강은 18% 줄었고 철근 역시 13.6% 감소했다.

이에 업계 안팎에서는 감산 여부까지 거론되고 있다. 

업계는 당장 전기료 인상 만으로 감산을 고려하고 있지는 않다는 입장이지만 지속적인 수요 부진에 원가 압박까지 이어질 경우 감산도 고려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때문에 업계 일각에서는 ‘연료비 연동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원료비 연동제는 원자재 가격 변동을 일정 주기로 가격에 반영하는 제도다.

실제 2차전지 업계가 원가연동제를 적용해 납품하는 대표 사례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생산원가가 인상돼도 수요가 뒷받침될 경우 생산량 확대 등을 통해 가격 인상을 최소화 할 수 있지만 현재는 수요 자체가 사라진 상황”이라며 “전기요금 인상은 철강사뿐 아니라 모든 제조업에 원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관계자는 또 “철강업계가 최근 중국·일본산 철강재의 공세가 강화되는 등 대내·외 악재가 쌓이고 있다”며 “연료비 연동제뿐만 아니라 전력산업 기반기금 요율 완화 등 기업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