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한국은행이 경기침체, 물가안정을 이유로 5연속 기준금리 동결에 나섰지만 시장금리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다. 미국의 긴축 장기화 예상에 국채금리가 오르면서 국내 시중은행의 조달금리까지 영향을 미친 까닭이다.

금융권은 연내 금리인하 기대를 내려놨다. 한은의 통화정책 기조뿐 아닌 은행의 조달 비용도 부담이 되면서다. 예‧적금 수신을 통한 자금조달보다 부담은 적지만 채권금리 또한 오르고 있다.

한은은 24일 경기침체 우려, 물가안정 등을 이유로 5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최종금리는 3.75%로 열어뒀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남으면서 한미간 역대급 금리차를 우려한 까닭이다.

한미간 금리차가 2.25%로 벌어지면 환율상승에 외국인 투자자본 유출 등을 배제할 수 없다.

은행채 발행 증가도 하반기 금리인상 가능성에 힘을 싣는다. 지난 5월 이후 은행채 물량이 순발행 기조로 전환됐으며 하반기에도 채권만기 도래분, 경기위축 가능성을 대비해 은행채 순발행 기조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28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이달초부터 발행된 은행채는 1조4100억원 순발행을 기록했다. 지난 5월 9595억원 이후 3개월 만이다. 지난 1월 이후 5월을 제외하고 순상환 기조를 이어왔다.

기준금리 동결에도 지속적인 금리상승은 대출금리 산정의 기준이 되는 채권금리가 오르면서다. 가계부채 급증에 당국에서도 가계대출 관리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최근 50년만기 주담대 증가세가 심상치 않자 가계대출 취급실태 종합점검에 착수했다. 우선 5대은행을 대상으로 다음달 하순까지 직접 대출 규제나 심사 등의 적정성을 살펴볼 예정이다.

하나은행을 시작으로 다음달에는 KB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NH농협 순으로 나흘씩 진행된다.

은행 관계자는 “최근 가계대출 증가에 금융당국에서 점검에 나서면서 가계대출 관리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며 “가계대출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대출금리 인상을 통해 문턱을 높일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시중금리가 치솟으면서 한동안 잠잠했던 9월 위기설도 재점화하고 있다.

당초 제기됐던 코로나19 금융지원 종료는 2025년까지 추가연장 발표에 다소 안정됐지만 상반기 부동산 회복과 연내 금리인하 기대감에 2030대를 중심으로 주담대 비중이 커지면서다.

연체율도 우려되고 있다. 상반기 시중은행 주담대 연체율은 0.21%로 코로나 이전 2019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30대의 연체율도 다른 연령대의 평균 연체율보다 0.1%높은 0.31%를 기록하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대내외적인 악재에 시중금리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가파른 가계대출 증가세가 가파른 상황”이라며 “일정 기간 고정금리 적용으로 금리가 인상돼도 큰 문제가 없지만 가처분 소득이 부족한 대출자의 경우, 연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