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노해리 기자] “평소처럼 뒷좌석에 탔는데, 얼마 안 지나 멀미가 정말 심하게 나서 불편했어요. 전기 택시 다시는 안 타고 싶어요.”

한 택시 승객의 푸념이다. 요즘 전기택시를 모는 기사들이 가장 많이 듣는 말 중 하나도 “회생제동 기능 꺼 주세요”다.

전기차의 회생제동 기능은 주행 중인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돌아오게 해 배터리의 전기를 살리는 것을 말한다.

가속을 하려면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전기 모터로 이동해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해야 하는데, 회생제동 모드를 켜면 전기모터가 발전기의 역할을 한다. 바퀴의 운동에너지가 발전기를 움직이면서 전기를 만들어 배터리로 이동, 전기가 충전되는 방식이다.

회생제동을 작동시키는 방법은 간단하다. 가속 페달을 밟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는데, 깊게 밟으면 가속, 발을 뗄수록 감속하면서 회생제동이 강하게 걸린다. 가속페달에서 완전히 발을 떼면 브레이크를 밟지 않아도 차가 거의 멈춘다.

이런 회생제동 방식에는 장점이 따른다. 자동차의 연비를 높이고, 브레이크의 사용을 줄여 브레이크 패드의 수명도 늘려준다.

특히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는 순간 작동하기 때문에 내연기관차보다는 브레이크를 덜 밟게 되고, 브레이크 패드 수명을 연장시키는 부가적인 효과도 가져온다. 회생제동 사용을 얼마나 하느냐에 따라 수명이 1.5배에서 2배 정도 늘어난다.

하지만 잃는 것 또한 너무도 크다. 승차감이 크게 저하되는 점은 치명적이다.

최근 출시하는 전기차에선 이런 단점을 개선했다고는 하지만 전기차 탑승자들은 여전히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일부 전기차 운전자들은 이질감이 큰 회생제도 기능을 꺼 놓기 일쑤다.

이같은 지적이 계속되자 자동차 브랜드들은 회생제동으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시도 중이다. 일부 브랜드 차종은 회생제동 강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했다. 세기를 높이면 배터리 충전이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급감속의 정도가 강해지는 식이다.

이에서 나아가 도로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세기가 조절되는 기술도 나왔다. 현대차 아이오닉 시리즈, 기아 EV6 등 일부 차종엔 스마트 회생제동 시스템을 장착해 도로 경사, 전방 차량 영향 등을 차량 스스로 분석해 단계를 설정한다.

BMW 전기차에는 ‘적응형 회생제동’ 기능을 포함해 총 4개의 회생제동 모드가 들었다. 적응형 회생제동은 스스로 학습하는 인공지능(AI)이 주변 상황 및 교통 흐름을 다각적으로 판단, 회생제동 강도 및 관성 주행 여부를 스스로 조절해 에너지 회생 효율을 최적화한다.

더불어 기어 레버로 B모드를 선택하면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는 것만으로도 최대한의 회생 제동이 이루어진다.

벤츠도 D오토 모드로 전기차 EQA에 회생제동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원리는 비슷하다. 레이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앞차와의 거리를 계산해 자동으로 회생제동 정도를 결정한다.

기술도 다양해졌으나 가장 중요한 건 운전 습관이다. 업계 관계자는 “회생제동의 이른바 울컥거리는 느낌은 페달 사용이 익숙하지 않아서”라며 “페달 사용 차이를 숙지하고 효율적으로 운행하면 연비향상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