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전한울 기자] 최근 이동통신 3사가 불편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주력사업으로 자리잡은 5G 서비스가 앞선 LTE 보다 낮은 고객 만족도를 나타낸 것.

‘시기상조’를 핑계로 그냥저냥 넘길 일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상용화한 지 3년이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부족한 속도와 커버리지(서비스 가능범위)에 ‘반쪽짜리’ 논란이 이어져 오니 말이다.

이통 3사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창궐한 지난 2년간 데이터 이용량과 5G 가입자가 폭증하면서 역대급 실적을 올렸다.

5G로 쌓아올린 금자탑이지만 들여다보면 부실공사임을 금세 알 수 있다.

매년 속도나 커버리지를 지속 개선하고 있다지만 2000만이 훌쩍 넘은 가입자를 만족시키기엔 턱없이 부족하고 더디다. ‘진짜 5G’라고 불리는 28GHz 기지국 증설은 의무 이행률을 턱걸이로 넘기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다. 음영지역과 체감통신을 좌우하는 실내 중계기는 턱없이 부족하며, 실외 기지국도 서울 권역에 집중돼 있어 ‘통신 불평등’ 현상이 일어난다. 

대대적으로 시행된 전국망 구축사업은 3.5GHz로 진행 중이다. LTE와 체감속도에 큰 차이가 없어, 오히려 알뜰폰에 힘이 실리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기업의 생각은 이렇다. 5G 활용성을 높일만한 콘텐츠가 부족해 낮은 투자 수익률(ROI)로 직결된다는 것. 

물론 민영기업에게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는 기지국 증설을 막무가내로 등떠밀 순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이러한 논리로 접근한다면 수익창출이 최우선 목표인 민영기업이 독과점 수준의 점유율을 앞세워 품질 낮은 필수재를 통해 부정이득을 얻고 있는 것은 아닌가.

앞선 LTE와 별반 차이가 없는 5G 서비스를 값비싼 요금제를 내면서까지 사용하는 가입자들을 ‘자율 선택’이라는 명분 하나로 나몰라라 할 수 있는가.

이제 5G 사업은 명실상부한 최대 수익모델로 자리매김했다. 그럼에도 수익성 때문에 고질적인 품질 논란을 나몰라라 한다면 2000만명이 넘는 가입자를 기만하는 방임이자 방관이다.

수요발굴과 인센티브 등 삼박자가 맞아 떨어져야겠지만 가장 중요한건 이통 3사의 적극적인 투자의지다. VR·AR 등을 기반으로 한 융합산업이 생활 속으로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5G 활용성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5G로 창출한 막대한 수익을 품질제고를 위해 재투자하는 국가대표 통신기업들의 책임감 있는 행보를 기대한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