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박예진 기자] 최근 건자재 가격 급등 여파로 건설사의 비용부담이 심화된 가운데 미분양으로 수익까지 줄어들면서 중소건설사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도시정비사업 규제 완화 대책은 이 같은 위기의 해법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건자재와 노무비는 급증하는 데 반해 미분양 주택 증가로 수익이 급감하면서 중소건설사들 사이에서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를 방불케 한다는 토로가 나온다.

특히 지난해 연말과 비교하더라도 대구 미분양 주택은 1977가구에서 올해 7월 7523가구로 급격히 증가했다. 6개월 만에 280%나 급증한 셈이다. 이외에도 경상북도(48.5%↑)와 충청북도(191.1%↑), 울산(98.4%↑) 등 지방과 경기도(229.4%↑), 서울(996.2%↑) 등 수도권에서도 급격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수익은 줄었는데 글로벌 공급망의 위축으로 건자재 가격은 꾸준히 늘어, 7월 건자재지수는 지난해 연말 대비 10.11%p 증가한 147.27%를 기록했다. 현장 관리 인력이나 노무비 등도 증가했다. 건축목공은 5.36%, 형틀목공과 콘크리트공은 각각 4.93%, 2.95% 늘었다.

이 가운데 미분양으로 인해 수익을 내지 못한 중소건설사들이 공사비용의 원금도 갚지 못하는 상황에 놓이면서 제3금융 또는 제4금융으로 돈을 빌리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자산이 부족한 중소건설사는 금융권에 빚을 지면서 사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공사 하나에만 ‘올인’할 수밖에 없고 미분양이 발생하면 사실상 사업이 모두 중단되는 상태가 된다.

최근에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해 사업부지가 경매로 넘어가는 경우도 빈번해지고 있다. 중소 업체의 경우 이 같은 사업장만 1~2곳 발생하더라도 부도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지방 중소건설사들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30%에 달하고 지역 하도급업체와도 연계돼 있어 이들의 위기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력도 적지 않다.

정부에서 정비사업 활성화 방안으로 분양가상한제 개편, 신도시 재개발을 통한 공급 확대 등을 정책으로 내놓고 있지만, 애초에 대규모 사업에 참여가 어려운 중소건설사가 정책 효능감을 느끼기엔 역부족이다.

게다가 정비사업 활성화는 하향 안정화되는 주택가격에 반등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부동산 가격을 높이지 않으면서도 중소건설업체의 줄도산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환매조건부 미분양아파트 매입사업 등을 통한 건설업체의 유동성 지원이 그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준공전 미분양 주택을 분양가의 70~75%선에서 환매조건부로 매입한 후 준공기간 동안의 금융비용을 더한 가격에 건설사가 다시 주택을 구매하는 형식으로,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사용됐던 방안이다. 만약 건설사가 주택을 환수하지 못할 경우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의 매각을 통해 매입임대주택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수익성 악화와 원자재·금리 인상 속 중소건설사의 부담은 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런 때일수록 중소건설사들의 유동성 확보가 필요하다. 이번에는 부동산 시장 안정화와 중소건설사의 상생 모두 확보하는 노련한 정부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