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방통위는 광화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장애인단체, 방송사업자 등 관련 단체들이 참석한 ‘소외계층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 발표식을 열고,  미디어포용 정책 추진방향과 주요 추진과제를 설명했다.
지난해 10월 방통위는 광화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장애인단체, 방송사업자 등 관련 단체들이 참석한 ‘소외계층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 발표식을 열고, 미디어포용 정책 추진방향과 주요 추진과제를 설명했다. [사진=방통위]

[이뉴스투데이 박응서 기자] 모든 시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맞춤형TV가 보급된다. 또 한국수어방송 의무편성비율을 7%로 확대한다.
 
11일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아 지난해 수립한‘소외 계층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추진에 필요한 2022년 세부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방통위는 13개 세부주요내용에 대해 지난해보다 27.5% 확대한 162억 6800만 원의 예산을 편성해 시행한다. 

먼저 올해 장애인방송 고시를 개정해 한국수어방송 의무편성비율을 5%에서 7%로 높인다. 또 화면해설방송 재방송 편성비율을 30%에서 25%로 축소한다.

다음으로 시청각장애인이 비실시간방송( VOD)으로도 자막방송과 화면해설방송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을 지원하고 있는데, 지원 대상을 지상파 4사(KBS‧MBC‧SBS‧EBS)에서 종합편성채널(종편)과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로 확대한다. 

또 지난해까지 저소득층에 한해서 시청각장애인용 맞춤형TV를 보급했으나 올해부터는 모든 시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확대해 보급한다. 지원 방식도 일괄 보급에서 이용권 제공 등 개별적으로 구매할 수 있게 변경한다. 이를 통해 지난해까지 33.8%에 이른 보급률을 올해 35%까지, 2025년까지 50%로 높인다.

유료방송(IPTV)을 이용하는 장애인을 위해 셋톱박스 장애인 특화기능 개발도 추진한다. 2020년 KT, 2021년 SKB에 이어 올해는 LGU+가 기능 개발에 참여한다. 

특히 방통위는 장애인을 위한 방송 기술 개발도 적극 추진한다. 청각장애인을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아바타수어 생성시스템을 개발하고, 2019년부터 추진한 음성·자막 변환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청각장애인 3500여명을 대상으로 시범서비스를 실시한다.

또 재난재해가 발생했을 때 장애유형에 관계없이 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맞춤형 재난정보전달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시작한다. 개발 참여자간 협력을 위한 ‘이용자참여검증단(리빙랩)’을 구성해 운영한다. 

이어 장애인방송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장애인단체가 직접 참여하는 ‘품질평가단’을 구성하고 운영해, 장애인방송 품질평가제도 방안을 마련한다.

한상혁 위원장은 “장애인방송 제작지원 미디어를 확대하고, 새로운 디지털기술 이용과 미디어 활용도를 높여나가겠다”며 “이를 통해 소외계층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디지털 미디어 복지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