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완제공정.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완제공정.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이뉴스투데이 전한울 기자] ​K-바이오가 최근 인프라에서부터 자체 기술까지 눈에 띄는 성과를 이어가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최근 국내 바이오 기술 수출이 늘어나고 위탁생산력은 제고되고 있다. 

올해 국내기업과 중국기업간 바이오 기술수출 규모는 2조원을 돌파했다. 사상 최대 성과다.

지난 1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올 10월까지 국내 기업과 중국 기업간 기술수출 계약 규모는 총 2조729억원에 육박한다. 지난해 1조7000여억원을 이미 넘어선 액수다.

국내 위탁생산력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허브’ 필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사업에 보다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세계적 위탁생산력’이란 평가를 받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성과가 도드라진다.

최근에는 로슈와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규모가 하루만에 2배 뛰어 올랐다.

지난달 28일 삼바측은 정정 공시를 통해 로슈와의 위탁생산 계약 규모가 2341억9900만원에서 4443억5600만원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로슈측의 수주물량 상향 요청에 따른 계약 정정이다.

현재 모더나의 코로나19 mRNA 백신을 위탁생산 중인 삼바는 mRNA 백신 제조시설의 GMP(제조품질관리기준) 인증도 앞두고 있다. 제품 신뢰도와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지난 8일 김강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이달 안에 GMP 인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히며 힘을 싣기도 했다.

이외에도 SK바이오사이언스, 에스티팜, 코오롱생명과학, 동국제약 등에서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자체개발과 위탁생산은 사업 성격이 확연하게 상반돼 구조적으로 양립하기 쉽지 않다”라면서 “기술력과 위탁생산력이 동시에 해외 성과를 내는 부분은 국내 업계 경쟁력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이다”라고 평가했다.

◇국내 기술·위탁생산력, 세계적 ‘바이오향’ 정책과 시너지 기대

이러한 성과는 글로벌 경쟁력과 직결된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 바이오 분야에 적극적인 지원을 지속하고 있는 만큼 추세에 따른 ‘급물살’도 기대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은 최근 자국 내 의약품 가격을 낮추기 위해 ‘미국 경제의 경쟁 촉진에 관한 행정명령’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복제약인 ‘바이오시밀러’ 시장을 확대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등 국내 기업들의 활약이 점쳐지기도 했다.

중국 역시 바이오의약을 비롯한 10대 산업 분야 강국을 목표로 한 ‘Made in China 2025’ 사업을 통해 기지개를 펼 준비를 하고 있다. 중국 바이오 시장은 지난 2016년 기준 5조~7조 규모에서 내년까지 연평균 17% 증가할 전망이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특히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은 글로벌 시장 내 입김이 막강하다”라면서 “미국의 바이오 정책 발표에 우리나라 기업이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바이오 분야의 저개발국으로 남아있던 중국은 수많은 인구와 넓은 시장을 기반으로 시장규모, 바이오 특허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미국을 견제할만한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라면서 “중국 내 K-바이오의 위상이 높아 우리 기업과의 협업과 이에 따른 기회가 계속 만들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턱 없이 낮은 세계시장 점유율…기업 R&D 투자 높여야

다만 여러 호재에도 아직 넘어야할 산이 많다. 지난 3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정책연구센터가 발간한 ‘바이오의약품 산업 분석 및 정책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에서의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 비중은 0.7%에 불과하다. 

국내 바이오의약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시밀러 수출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외 바이오의약품 수입도 늘어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연구개발 투자를 통한 기술력 제고가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우선 셀트리온 등 대형 바이오기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바이오의약품 기업, 벤처들의 R&D 투자 역량은 글로벌 기업 보다 한참 뒤떨어진다”라며 “제한적인 플랫폼 위주인 대중 기술수출 증가와는 별개로 전반적인 기술 경쟁력이 떨어지게 되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기업으로선 매출 대비 R&D 투자규모를 늘리는 데 매번 한계가 있어 R&D와 관련한 정부의 재정적,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