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의 탄소중립 정책이 속도를 내고 있지만, 정작 발전비중을 낮춰야 하는 석탄발전의 전력거래규모가 여전히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 그래픽=고선호 기자]
정부 주도의 탄소중립 정책이 속도를 내고 있지만, 정작 발전비중을 낮춰야 하는 석탄발전의 전력거래규모가 여전히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 그래픽=고선호 기자]

[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기존 화석연료 중심의 발전 구조에서 벗어나 이산화탄소의 실질적인 배출량을 줄이자는 정부 주도의 ‘탄소중립’이 석탄발전 의존도를 낮추는데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정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무연탄, 유연탄 등 대표적인 석탄발전의 전력거래규모가 여전히 전체 발전원별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되는 등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전환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29일 전력거래소 등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의 국내 원료원별 전력거래규모 집계 합산 결과 석탄발전의 비중이 총합 8조5599억원으로, 지난해에 이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총합 9조121억원과 비교했을 때 불과 5% 감소한데 그친 것이다.

구체적인 올해 1~6월 월별 전력거래금액은 △1월 1조6953억원 △2월 1조3825억원 △3월 1조2634억원 △4월 1조2330억원 △5월 1조3905억원 △6월 1조595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의 경우 △1월 1조7660억원 △2월 1조5498억원 △3월 1조3177억원 △4월 1조4110억원 △5월 1조4079억원 △6월 1조5597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1년간 석탄발전의 감소세가 4000억원대에 그친 것으로, 같은 기간 태양광 발전 역시 약 600억원 증가에 그쳐 정책 추진 속도 대비 시장효과는 아직 미미한 상황이다.

올해 1~6월 태양광의 총 전려거래금액은 3283억원이며, 이는 작년 2654억원 대비 23.7% 증가한 수치다.

여기에 전력원 비중을 가장 크게 낮추고 있던 원전 역시 최근 피크기간 전력수급 문제로 3기 재가동에 돌입하며 사실상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은 더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정부 주도로 지원 확대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낮은 성장세와 달리 최근 대체재로 떠오른 LNG발전의 전력거래규모는 지난해 7조2819억원에서 올해 8조2817억원으로 같은 기간 1조 가까이 증가했다.

LNG발전은 석탄발전과 비교했을 때 탄소배출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가가 비싼 탓에 더딘 성장을 겪어왔다.

하지만 최근 국제유가의 상승세와 더불어 국가적 LNG발전 수요가 크게 확대되면서 연간 전력거래규모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의 ‘9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르면 LNG 발전 규모는 2019년 3만9655㎿에서 2034년 5만9096㎿로 늘어난다. 반면 석탄발전은 같은 기간 3만6992㎿에서 2만9012㎿로, 원자력은 2만3250㎿에서 1만9400㎿로 줄어든다.

문제는 LNG발전소 가동 초기에 불완전 연소에 따라 대기오염물질이 다량 배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1월 국립환경과학원이 서울 LNG 발전소에서 가동 초기에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출력을 올린 후 정상가동까지 도달하는 과정 중 가동 초기 총 탄화수소(THC)가 평균치 3113PPM이 배출됐으며, 가장 많이 배출될 때 최대 6690PPM에 달했다.

이에 대해 감사원은 “수도권의 노후 LNG 발전소에서 가동 초기 대기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다량 배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탈(脫)탄소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일본의 경우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액화천연가스(LNG)의 비중을 10년 뒤 절반 정도로 줄이는 동시에 원전 발전 비중을 세배 이상 늘리고 있다. 이는 원전과 석탄발전의 비중을 대폭 축소하고 LNG발전의 비중을 확대하겠다는 우리 정부의 방향성과는 극명하게 대비된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신재생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석탄과 원전에서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서 LNG발전의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불가피한 선택일 수 있다”며 “하지만 LNG발전의 특성상 높은 단가와 시설의 폐쇄·처리 어려움은 장기적으로 에너지전환에 있어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대책을 수반한 전환이 추진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