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신하연 기자]
한적한 메가박스 동대문 로비. [사진=신하연 기자]

[이뉴스투데이 신하연 기자] 위기의 영화업계가 당국의 방치 속에 사지에 내몰린 형국이다.

이달 초 문체부는 문화‧예술‧체육‧관광업계 코로나19 피해 극복을 위한 2차 추경 3007억원을 편성했다.

하지만 이 중 영화업계에는 내수활성화 명분으로 책정된 영화 관람지원금 100억원이 전부다. 관객 총 167만명의 영화 관람 시 6000원씩 할인을 제공한다.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문화체육관광위원회)은 최근 정책자료를 통해 “단순히 할인권을 주면 관객이 늘고, 관람 활성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만으로 추경을 편성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설령 할인권이 지급된다고 하더라도 코로나19 4차 대유행 발생 상황을 고려했을 때 극장 관람이 단기간에 활성화되기 어려워 집행부진 또한 예상된다”며 “영화관람 할인권 대신 지난해와 같이 영화발전기금 면제를 위한 예산과 거리두기 4단계 유지에 따른 피해지원 예산을 편성해 극장이 버틸 수 있는 버팀목을 고여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영화관람 할인권이 실제 관람객수를 끌어올릴지도 미지수다.

[사진=최형두 의원실]
지난해 1월부터 현재까지 영화상영관 월별 총 관객수와 매출액 자료. [사진=최형두 의원실]

영화진흥위 자료를 분석하면, 지난해의 경우 오히려 문체부 ‘영화쿠폰’이 지원된 달보다 지원되지 않은 달에 관람객 수가 많다.

심지어 지난해 8월에는 단 이틀만 관람권을 지원했음에도 25일간 지원이 이뤄진 6월과 33일간 지원된 10월~11월보다 더 많은 관객이 찾았다.

지난 8월 880만관객이 극장을 찾은 이유는 할인쿠폰이 아닌 기대작 개봉 때문이다.

420만명이 관람한 영화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가 8월 관람객 증가를 이끌어 낸 셈이다.

통상 7, 8월이 영화관 성수기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단순한 할인쿠폰의 지급이 관람 활성화로 직결되지는 않는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물론 피해가 큰 업종인 만큼 당장 100억원도 절실할 수 있지만, 이보다 더 근본적인 지원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

할인쿠폰 지급은 내수 진작을 위한 지원 수단으로 이용될 수는 있지만 업계의 존속을 돕는 해결책이 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지난 5월 영화관업계는 정부지원 호소 기자회견을 열고 “영화산업은 세계를 선도해나갈 수 있는 경쟁력 있는 문화산업이지만 코로나19 이후 각종 재난지원에서 철저히 소외돼 있다”며 “업계 의견을 수렴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보호 방안과 과감한 지원 예산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한 바 있다.

피해 극복을 위한 구체적인 해결책으로는 △배급사 영화 개봉을 독려할 수 있는 개봉 지원금 지원 △2021년 영화발전기금 납부 전면 면제 △피해 극장에 실효성 있는 금융 지원 △단계별 음식물 취식 완화 등 실질적인 방안이 요청됐다.

현재까지 당국에서 영화 관람 지원금 외에 영화업계를 위해 내놓은 지원책은 없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영화관람 할인권으로 지원되는 금액은 상영관뿐 아니라 제작사, 배급사, 투자사에 모두 분배되기 때문에 업계에 최소한의 심폐소생술 역할을 해주길 기대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일반 소상공인에 비해 영화업계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정부가 귀를 닫고 있는 상황인데, 문화산업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조금 더 공감하고 실질적인 방안을 부심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문화체육관광부는 영화관람 할인 지원이 최선책이라는 입장이다.

영상콘텐츠산업과 관계자는 “이번 추경 목적은 업종 지원보다는 내수 소비 진작이 우선”이라면서 “예산 제약이 없다면 이것 저것 다 할 수 있겠지만 예산이 제약된 상황에서 업계 지원과 내수 진작 두 목적을 달성 가능한 방안은 소비 쿠폰 지급이 최선”이라고 일축했다.

주관부처인 문체부가 영화산업의 중요도를 설득하고 별도 재원을 마련하는 일에 소극적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한편 영화 상영관은 각 사별로 무급휴직, 운영시간 축소, 일부 지점 휴업·폐점뿐 아니라 판관비 절감, 배급사 지원 등 자구 노력을 펼쳐왔지만 시장 자구책만으로는 정상화가 불가능한 상태다.

지난해 영화관객수(5952만명)는 직전년도(2억2668만명) 대비 73.7%, 매출액도 1조9140억원 수준에서 5104억원으로 급감했다.

특히 극장 등 문화 공간 감소는 지역 상권 소멸뿐 아니라 소상공인 위기 문제와도 직결되고 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