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확대에도 송배전선로 등의 전력망 확충이 뒷받침되지 못하면서 출력제한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사진=dreamstime, 그래픽=고선호 기자]
신재생에너지 확대에도 송배전선로 등의 전력망 확충이 뒷받침되지 못하면서 출력제한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사진=dreamstime, 그래픽=고선호 기자]

[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정부 주도로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확대되고 있지만 전력망 확충이 뒷받침되지 않아 정상적인 전력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특히 제주를 비롯한 대규모 발전단지를 중심으로 출력제어 사태까지 발생하면서 송출 수단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주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집적지인 제주도와 전라남도 신안군 등지에서 잇달아 출력제어 사태가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출력제어 조치는 허용 용량을 초과하는 재생에너지 발전물량에 따라 전력계통 과부하 방지를위해 발전제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전까지는 명절 등 일시적인 부하에 따른 출력제어는 몇 차례 이었으나, 평상시 제주를 제외한 타지역에서 재생에너지 발전 출력을 제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정부의 무분별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설 확대에 못 미치는 전력계통 상황으로 인해 향후 추가적인 출력 제한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전력계통은 생산 전력을 수송·분배하는 전기설비로, 최근의 전력한계치 상승 문제로 인해 이를 전담하는 한국전력은 전라남도 신안군 일대에 송전선로와 변전소 등에 대한 확충에 나섰지만 주민 반대로 인해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업계 관계자는 “신안군 일대 태양광 발전시설은 일조량이 다른 지역보다 많기 때문에 현재 전력계통으로는 이를 다 해소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송전선로 등의 전력계통 확충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전력생산에 계속해서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전력계통 확충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전국 최대 신재생에너지 발생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제주의 경우 출력 변동으로 인한 정전을 막기 위해 지난 1년간 77차례에 걸쳐 풍력발전의 출력을 제한한 바 있다.

정부는 제주와 내륙지방을 연결하는 송·배전서로 확충에 나설 계획이지만, 지금도 전체 발전량의 3분의 1에 달하는 전력이 버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발전업계에서는 정부 주도의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확충과 함께 발전용량을 수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조성할 구체적인 송전망 계획을 우선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특히 정부의 전력망 보강이 늦어지면서 이에 따른 추가적인 피해가 지속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발전업계 한 관계자는 “태양광·풍력은 빠르면 1년 안에 완공할 수 있지만 이를 분배하고 송전하는 철탑이나 변전소 등은 주민 수용성도 낮고 건설기간도 길어 발전설비와 전력계통 간의 미스매치가 심화하고 있다”며 “결국 재생에너지 ‘셧다운 대란’이 현실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산업부 관계자는 “기후환경적 요소에 따라 발전유형별 전력수급량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며 “모든 상황을 고려해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