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반도체 시장 공급부족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완성차 업계의 생산차질이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가 ‘민‧관 협력’ 카드를 꺼내들고 사태해결에 나섰지만 업계의 반응은 회의적이다. [사진=연합뉴스]
글로벌 반도체 시장 공급부족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완성차 업계의 생산차질이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가 ‘민‧관 협력’ 카드를 꺼내들고 사태해결에 나섰지만 업계의 반응은 회의적이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글로벌 반도체 시장 공급부족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완성차 업계의 생산차질이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가 ‘민‧관 협력’ 카드를 꺼내들고 사태해결에 나섰지만 업계의 반응은 부정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지난 4일 미래차-반도체 연대‧협력 협의체 발족식을 개최하고 수요‧공급기업들과 국내 자동차‧반도체 기업간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강경성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발족식에서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수급불안은 전 세계적인 반도체 수급 불균형에 의한 것으로 단기간에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에는 어렵다”며 “이번 위기를 미래차-반도체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장기화되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차량용 반도체‧부품 자립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자율주행 기술 개발 등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단기적으로는 수입통관 긴급지원과 성능‧인증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업계에서는 이번 정책에 회의적이다. 차량용 반도체 시장 규모가 작고 수익성도 낮아 국내 반도체 업계에 실익이 없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차량용 반도체가 부족하다고 해서 생산라인을 증설하거나 조정하기는 쉽지 않다”며 “당장 수급난으로 생산라인을 새로 만든다 해도 양산까지 최소 6개월 이상이 걸려 수급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임은영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자동차 1대에는 200~300개의 반도체가 들어가지만 가격은 2달러 안팍으로 총 단가는 400~600달러 수준”이라며 “반도체 공급업체 입장에서는 PC, 스마트폰용 반도체 등에 비해 수익성도 낮아 후순위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계가 차량용 반도체 생산라인을 변경해도 생산라인 조정에만 한 달 이상 걸리고 반도체 수율을 올리는데도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다. 이 기간동안 매출 손실도 감수해야 한다.

스마트폰, 노트북, 인공지능용 반도체 수요가 충분한 상황에서 반도체 업계가 모험에 나설 이유는 없다.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에 들어가는 반도체와 달리 제조‧품질관리도 까다롭다. 또 ‘소량 다품종’ 생산이다 보니 시장 점유율을 넓히기도 쉽지 않다.

전세계 차량용 반도체 시장은 전체 반도체 시장의 10분의1 규모로 네델란드 NXP, 독일 인피니언, 일본 르네사스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의 경우 대부분 맞춤형으로 생산돼 대량 생산이 어렵다. 또 공정개발, 설비증설, 실증 등에 장기간이 소요되고 온도‧습도‧충격 조건에서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완성차 업계에서 공급처를 쉽게 바꾸기 힘든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차량용 반도체는 차량의 평균 수명에 따른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며 “긴 수명동안 외부환경은 온도와 습도 충격 등의 가혹한 환경에서도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또 “내구성으로 인한 결함이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리콜에 대한 부담으로 신규업체의 진입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은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이 올해 3분기까지 지속되고, 1분기에만 67만 2000대 규모의 자동차 생산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MCU(마이크로컨트롤유닛)의 경우 주문에서 인도까지 26주 이상 소요된다는 분석도 내놨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