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지주, JB금융지주, DGB금융지주 사옥. [사진=각 사]
BNK금융지주, JB금융지주, DGB금융지주 사옥. [사진=각 사]

[이뉴스투데이 이상헌 기자] 연말을 맞은 지방은행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속 흑자를 유지하며 실적 면에서 선방했다. 하지만 정부의 대출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조치로 잠재부실의 뇌관이 언제 터질지 모르기 때문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부산·DGB대구·BNK경남·JB광주·JB전북은행 등 5대 지방은행의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순익은 총 8377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동기 9904억원보다 15.4% 하락한 수준으로 간신히 적자는 면했다.

코로나19를 대비해 충당금 확보 등 보수적 재무관리를 잘 해온 탓이다. 순이익 하락은 어쩔 수 없다고 해도 건전성 지표 등 나름대로 관리를 잘해 왔다는 평이다. 하지만 여전히 "안심할 수 없다"는 긴장감이 시간이 갈수록 팽배지고 있다.

지방금융지주 한 관계자는 "연말 백신 개발과 함께 확산세가 꺾일 것으로 봤던 코로나19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지 걱정이 크다"며 "지방은행은 시중은행과 달리 지역 중소기업에 대출이 집중돼 있다보니 잠재 부실채권 관리에 매우 취약하다"고 말했다.

지방은행은 지역 기업들에 대한 원활한 자금 지원을 위해 설립된 은행이다. 이런 이유로 전체 대출 60%를 중소기업에 집행해야 하는 의무대출 비율 규제가 적용된다. 이 같은 여건에서 한계기업의 급증은 지방은행으로서 부담이 아닐 수 없다.

한국은행이 내놓은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계기업 여신은 전년대비 60조원 증가한 175조6000억원이다. 이 중 중소기업 수는 지난해 3475곳에서 5033곳으로 급증했다.

대출만기 연장 조치가 끝나는 내년 3월이면 누적된 부실이 한꺼번에 터질 가능성이 크다. 지방은행들도 기업대출 비중이 높은 여신 포트폴리오 개선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왔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기업대출 비중이 30% 가량인 시중은행으로선 지방은행 사정이 얼마나 절박한지 상상하기 어려울 것이다"며 "대출 만기연장을 실시한 차주가 내년까지 사정이 나아지지 않으면 4월에 곧바로 연체로 분류될 확률이 그만큼 높아 여신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나타난 5대 지방은행의 올해 6월말 고정이하 기업대출 잔액은 1조121억원이다. 지난 3월말(1조535억원) 대비 414억원 줄어드는 개선세를 보였다. 하지만 문제는 당장 보이는 부실채권은 줄일 수 있어도 눈에 보이지 않는 잠재적 부실은 커지고 있다는 데 있다

올해 상반기 각 은행의 요주의여신(1~3개월 연체된 잠재 부실 채권)을 보면 전북은행(36.8%), 대구은행(23.2%), 광주은행(15.2%), 경남은행(7.6%) 순으로 일제히 늘었다.

여기에 내년 3월 만기연장 조치가 종료되면 기존 정상으로 분류되던 대출까지 요주의여신으로 분류된다. 지방은행은 최악의 상황을 맞게 된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코로나19상황이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경우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조치로 정상의 탈을 쓴 대출이 언제 부실로 이어져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 연출된다"고 우려했다.

한편, 전북은행은 신용평가모형을 바꿔 약 700억원의 여신이 정상에서 요주의로 재분류되면서 요주의여신이 급증했다. 대구은행 역시 요주의여신이 증가했는 데 그 원인은 매년 실시하는 정기신용평가의 영향이 약 40%, 미래 경기전망을 보수적으로 변경한 영향이 약 60%라고 밝혔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