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트럭이 공장에 줄지어 서있다. 레미콘은 시멘트를 물과 자갈 등 다른 자재와 혼합해 만든다. [사진=연합뉴스]
레미콘트럭이 공장에 줄지어 서있다. 레미콘은 시멘트를 물과 자갈 등 다른 자재와 혼합해 만든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이하영 기자] 주택산업과 긴밀히 연관된 시멘트업계가 사상최대 분양 실적을 거둔 건설사와 달리 실적 악화를 거듭하고 있다.

25일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올해 시멘트 출하량(전망치)은 약 4550만t으로 지난해 4948만t 보다 8% 가량 줄어든 수준이다. 이는 시멘트업계 이래 최악의 상황으로 평가되는 1998년(4570만t) 외환위기(IMF) 당시보다 줄어든 수치다.

현재 가장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곳은 삼표시멘트다.

올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2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36억원으로 73.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1위 쌍용양회는 3분기 매출액 3457억원, 영업이익 54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3.8% 감소, 2.1% 증가한 수치다. 

한일시멘트는 3분기 매출액 2517억원, 영업이익 36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0.2% 줄었고, 영업이익은 187.5% 늘었다.

아세아시멘트는 3분기 매출액 1846억원, 영업이익 249억원이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 43% 증가한 수치다.

매출하락에도 영업이익이 상승한 업체는 시멘트 원재료 중 하나인 유연탄 값 안정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쌍용양회는 폐기물처리 등을 통한 비용절감으로 손실을 극복했다.

시멘트업계서는 실적이 하락한 가장 큰 이유로 주택건설업계 위축을 꼽는다. 인‧허가 물량이 없으니 사업 활성화가 어렵다는 것이다. 

또 올해는 유독 긴 장마와 태풍으로 휴업일이 많았고 코로나19로 인해 건설 투자도 위축돼 중단된 현장이 속출했다.

이는 건설경기 바로미터로 일컬어지는 레미콘 출하실적을 보면 짐작 가능하다. 레미콘은 시멘트와 물, 골자재 등이 섞인 굳지 않은 콘크리트다. 90분 이내 타설해야 하는 특성이 있어 건설사는 필요한 양 만큼만 주문한다.

한국레미콘공업협회에 따르면 연도별 레미콘 출하실적은 △2017년 1억7420만m² △2018년 1억5570만m² △2019년 1억4700만m² △2020년 1억3900만m²(추정치)로 축소됐다. 줄어드는 물량에 레미콘업체는 공장 가동률을 줄이거나 공장을 매물로 내놨다. 레미콘업계에 따르면 전체 10% 상당인 100곳 이상의 공장이 매물로 나오거나 이미 팔렸다.

연간 주택 인‧허가 및 착공 물량. [사진=국토교통부]
연간 주택 인‧허가 및 착공 물량. [사진=국토교통부]

내년 전망도 밝지 않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멘트업계 경기 선행지표인 주택 인‧허가 실적이 하락세이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주택 인허가 물량은 △2017년 65만호 △2018년 55만호 △2019년 49만호로 축소됐다.

올해 미분양이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분양에 성공한 아파트도 착공으로 이어지는 데도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한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대개 분양이 이뤄지면 6개월 이후 착공돼 시멘트업계에 영향을 준다면 이번에는 분양가상한제 회피 물량이 많아 건설사 재량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그동안 시멘트업계는 생사기로에 놓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시멘트업계를 더 힘들게 하는 것은 국회 입법 논의가 진행 중인 ‘지역자원시설세’다. 해당 법안은 이개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전남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이 대표 발의했다.

‘지역자원시설세’의 목적은 지역의 균형개발 및 수질개선과 수자원보호 등에 소요되는 재원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시멘트업계는 이미 ‘질소산화물 배출부과금’이라는 환경부담금을 내고 있어 동일한 성격의 지역자원시설세를 한 번 더 걷는 것은 이중과세라고 반발하고 있다. 비용부담이 감당하기 힘든 수준으로 올라갈 위험이 있다는 이유다.

올해는 시멘트를 만드는 원재료 중 하나인 유연탄 값이 안정돼 가격 인상 방어가 가능했다. 시멘트업계는 유연탄 가격도 다시 오르는 추세인 데다 세금 부담이 더해지면 시멘트 값을 인상 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현재 국내 시멘트업계 세금 부담은 연간 약 1260억원 수준이다. 법안이 통과되면 약 506억원이 더 늘어난다. 시멘트 가격이 올라가면 결국 분양가 상승의 연쇄 고리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돼 소비자에 피해가 갈 전망이다.

한국시멘트협회 관계자는 “지역자원시설세는 20대 국회서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이 대표발의 했다 회기 종료로 자동폐기 된 것”이라며 “시멘트업계가 지역에 대한 직접 지원 확대키로 함에 따라 재발의 하지 않기로 해 철회되어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