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드론 산업성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제기된 드론 불법비행에 의한 피해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드론 대응장비에 대한 관심과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한 민관 공동 연구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또한, 드론과 관련한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현실적인 규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26일과 28일 인천국제공항에서 포착된 드론으로 인해 항공기가 김포국제공항으로 회항하는 일이 발생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에 의해 드론을 불법비행한 사람이 적발됐지만, 28일 신고된 불법비행에 대해서는 조종자를 적발하지 못했다.

또한, 지난 7일에는 부산의 고층 아파트에서 드론을 이용해 개인사생활을 침해하는 범죄가 발생했다. 지난 5년간 원자력발전소 등 국가보안시설에서 드론 불법비행이 26건 포착됐지만 처벌이 미미하거나 적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불법 드론으로 인한 문제가 계속 제기되면서 정부는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년 1월부터 2kg 이상의 드론에 대한 기체신고 의무화를 시행하고 처벌규정을 마련했다.

하지만 기체신고 의무화 신고 이후에도 의도적으로 신고를 미루거나 악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처벌 규정이 약해 실질적인 대안이 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이 관련업계의 입장이어서 드론 대응장비가 불법드론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책이라고 입을 모은다. 

 

드론 대응장비가 대안... 도입은 '글쎄'

드론에 의한 피해에서 드론 대응장비가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지만 국내 실정에 맞는 장비가 없어 국가주요시설에서도 첨단화된 드론 대응장비가 도입되지 않고 있다.

올해 국감에서 드론 대응장비에 대해 지적한 국회부의장 김상희 더불어민주당의원실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국가주요시설에 CCTV, 열감지 시스템 등은 도입되어 있으나 직접 대응하는 장비는 없다고 볼 수 있으며, 드론 불법비행을 포착하고 인력에 의해 대응하는 수준이다.

원전 등 국가주요시설에 첨단화된 드론 대응장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에서 확인하고 도입을 결정해야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드론 대응장비 중 검증 과정을 만족시키는 장비가 없어 도입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업계에서도 국가주요시설에 대한 드론 대응장비 도입 지연에 대해서 기술적으로 만족할 만한 시스템이 없어 도입하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R&D 사업을 통해 연구개발 중에 있는 드론 대응장비의 경우, 국내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상용화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크지 않아 드론 대응장비 국내 개발사 참여 저조

한화시스템에서 국가과제로 연구개발 중인 드론탐지 전용 레이더가 있으나 아직 상용화되지는 못했다. 내년도 12월 말 연구개발이 완료될 예정이며 이후 상용화 될 예정이다. 또한, 이후, 개발과제 등에도 적극 참여해 수준을 높일 계획이다.

LIG넥스원도 5개 참여기관과 올해 12월까지 ‘대 드론 방호시스템 시범운용 실증사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내 시장에 대해서는 확신하기 어렵다. 국가주요시설 외에 드론 대응장비의 도입은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다.

해외 업체와의 경쟁도 쉽지 않다. 대표적인 드론 업체인 중국의 DJI에서 드론 탐지장비 ‘Aeroscope’를 시장에 내놨는데 자사의 드론 제품만 탐지할 수 있다. 1대의 장비로 드론의 위치와 고도, 그리고 조종자의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상용화된 드론 중 DJI 제품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보통 RF탐지를 통해 드론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3각 측량이 필요하고 5~6대의 장비가 필요하다. 1대만 있어도 탐지 가능한 DJI 장비에 비해 가격경쟁력에서 불리하다.

관련 업계에 의하면 “ DJI ‘Aeroscope’는 DJI 제품만 잡을 수 있다고 하지만 타 제품에 비해 비용적으로 저렴하고 1대의 장비로 넓은 지역을 탐지할 수 있다”며, “수십억을 투자해 RF 탐지장비를 개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국내 시장이 크지 않아 직접 개발하기 보다는 해외 개발 제품을 수입해 판매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