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외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뚝 끊기면서 명동에는 폐업한 점포가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지난 8일 명동의 폐업한 점포 모습.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이후 외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뚝 끊기면서 명동에는 폐업한 점포가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지난 8일 명동의 폐업한 점포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여용준 기자] B2C 기업들이 코로나19로 생활 속 변화에 맞춰 유통 혁신을 꾀하고 있다. 비대면 온라인 유통채널을 확대하고 마케팅 방법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일상 변화에 따른 사업 방식의 전환이지만 기존 오프라인 유통채널을 영위하던 소상공인들은 소외되고 있다. 

14일 국회 국정감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소상공인 피해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특히 배달앱 이용이 확대되면서 수수료에 대한 지적이 이어졌다.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과 지원자금 등 정책에 대한 질의도 있었다. 대기업의 가맹점 차별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

지난 8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감에서 유의동 국민의힘 의원은 최근 1년8개월동안 아리따움, 이니스프리, 에뛰드 등 아모레퍼시픽 폐업 브랜드 가맹점 661곳을 언급했다. 

아모레퍼시픽 가맹점 수가 전체 화장품 가맹점의 61%를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폐업한 가맹점 수는 더 많을 전망이다. 

유 의원은 온라인 유통사업에 집중하면서 가맹점과 상생을 외면한 대기업을 지목하고 있다.

가맹점주들 역시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가맹점과 상생방안도 마련하지 않은 채 온라인 중심으로의 전환을 지적하고 있다. 지난해 전사적 디지털화를 선언한 아모레퍼시픽은 온라인 중심 판매에 집중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아모레퍼시픽은 가맹점주와 상생을 위해 1월 ‘마이샵 제도’ 등을 마련하고 지원에 나섰으나 실질적 효과가 미비했다. 

경쟁기업인 LG생활건강은 가맹점 운영자금을 지원해 최저임금과 임대료 인상 등에 지원하도록 했고 코로나19로 매출 부진과 사업환경 악화가 지속되자 두 차례 걸쳐 월세를 지원하기도 했다. 

지난달 24일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KMDA)는 기자간담회에서 이통사들이 쿠팡, 11번가 등 이커머스와 대리점 협약을 맺은 것을 규탄했다. 

이들은 올해 3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요청에 따라 5G 조기 투자와 함께 영업·대리점 지원에 나섰다. 

영업·대리점을 대상으로 단말기 외상 구입에 대한 이자 상환을 유예하고 판매 목표량을 하향 조정했다. 방역물품 부족으로 혼란을 겪던 초창기에 방역물품 지원을 통한 안정화도 꾀했다. 

그럼에도 코로나19 장기화로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통사들도 5G 조기 투자 대금 부담으로 움츠러들고 있다. 대규모 투자에 따른 비용 절감의 필요성을 느낀 이통사들은 유통구조 혁신으로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판매가 줄고 투자가 늘어나면서 통신사가 가진 돈이 없다”며 “당연히 유통망에서도 효율을 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소상공 유통망과의 충돌이 예상되고 있다.

KMDA 측은 “동반성장위원회 상생협약 무시한 이동통신3사를 규탄 한다”며 “대기업 및 자회사를 통한 통신유통 영업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유통구조 변화는 통신이나 화장품업계뿐 아니라 B2C 전반으로 확대되는 분위기다. 다음달 하반기 열리는 코리아세일페스타도 비대면 온라인 쇼핑에 집중하며 제약기업들도 화장품과 건기식 등의 온라인 판매 채널을 확보하고 있다. 또 네이버와 카카오 등 포털 기업들도 라이브쇼핑 채널을 오픈했다. 

이처럼 유통구조의 대대적인 변화가 불가피한 시점에서 소외당하는 소상공인을 위한 상생방안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감장 최대 이슈였던 배달앱 당사자인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 김범준 대표도 국감장에서 ”배민은 전국 각지로 배민아카데미를 확대하는 등 지역 소상공인과 상생 협력 방안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도 대기업과 소상공인의 상생에 대해 “상생 방안을 찾겠다”고 답했다. 

재계 관계자는 “대기업들이 소상공인과 상생에 나서긴 하겠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쇼핑문화가 변하는 것을 막을 순 없다”며 “그동안 회사의 발전에 함께 한 가맹점주들을 외면하지 말고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도우면서 유통구조 변화를 꾀하는 것이 기업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