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란하기 이를 데 없는 근간이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 숫자는 지역과 공간을 가리지 않는 전국 단위의 이른바 'n차 감염 현상'으로 확산일로이다. 사람들의 일상은 그렇게 침몰되고 있다. 감염경로가 명확하지 않은 환자 비율이 21%를 넘어가며 방역은 초비상이며 또다시 다가오는 태풍의 잿빛 구름은 하늘을 뒤덮고 있다.

'n차 전파'와 감염경로 불분명 환자 모두 코로나19 확산세를 가속화하는 주요 요인이다. 특히 n차 감염은 방역의 큰 걸림돌이다. ‘자연수(natural number)’의 약어인 n은 수학에서 부정 정수로 쓰임 된다. 어떠한 환경에 따라 값이 임의로 변하는 수란 의미이다. 1,2,3 등 숫자가 얼마든지 들어갈 수 있어 불특정 감염 환자의 증가를 나타낸다. 수학 덕후가 아니더라도 n의 쓰임은 그 수가 부정확하거나 정확하게 나타내고 싶지 않을 때 자연수 대신 n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언론에 연일 등장하는 n차 감염은 그래서 우리에게 가늠하기 힘든 공포로 다가선다. 

실생활에서는 자연수 자리에 n을 놓는 사례가 허다하다. 꼭 나쁘다고만 할 수 없는 밥값 품앗이의 대표적 현상인 n분의 1이 그렇다. n=사람 수로 놓고 사람 수대로 나누자는 것이다. 근간에는 n의 의미가 다소 부정적 의미로 차용된다. 희망을 상실한 청년세대를 상징하는 ‘N포세대’가 그러하다. 최근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성범죄 사건 텔레그램 n번방 사건의 n도 마찬가지이다. 그러고 보니 n은 가늠하기 힘든 사회현상에서 불확실성의 고유명사로 변이되는 듯하다.

의료계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경로가 불명확한 확진자 비율'을 중차대한 위험도 평가 지표로 보고 있다. 감염경로가 불명확한 환자의 비율이 21.5%가 넘어선 것은 지난 4월 집계치를 발표한 이후 최고치다. 우려스러운 점은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가 많다는 것은 어디선가 '소리 없는 전파'가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누구라도 언제, 어디서든 감염 될 확률이 그만큼 높아지는 셈이다. 감염병에 있어 n차 감염이 무서운 이유이다.

현 상황에서 확진자 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방역수칙 준수가 절실하다. 정부의 강제력과 행정명령만으로는 부지불식간에 행해지는 시민의 '위험 행동'을 제어할 수 없다. 깨어있는 자발적 시민의식만이 확산에 대응하는 효율적 방안이다. 이보다 더 확실한 방역은 없다. 그 시작은 당연히 사회적 거리두기이다. 코로나바이러스로 무너진 일상 속에서도 우리 모두는 생명공동체라는 자각도 선행돼야 한다. 급격한 2차 대유행이 우려되는 현실에서는 서로의 건강과 안녕을 위한 배려의 일상은 의무이다. 살얼음판을 걷는 조심스러움은 민주시민의 가치이다.  

AD 3세기 후반 대수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그리스의 수학자 디오판토스는 기호를 사용하여 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제시했다. 디오판토스의 그 유명한 저서‘산수론’은 1500년 이상 수학의 바이블이 되었다. 방정식을 사랑한 그의 묘비에는 일생을 시간별로 기술하고 나이를 묻는 수학 문제가 적혀 있다. 몹쓸 감염병으로 모두가 신음하는 2020년 여름의 끝자락에서 디오판토스의 묘비 글을 인용해본다.

‘여기에 코로나바이러스의 일생이 기록돼 있다. 생애의 6분의 1은 창궐이었고 그 후 생애의 12분의 1은 n차 감염으로 사람들을 힘들게 했다. 그리고 7분의 1이 지나서 백신이 나왔다. 접종 2년 후에 전 인류의 몸에 항체가 형성되었으나 그 항체는 오래가지 못했다. 코로나바이러스 그의 예상되는 소멸나이는?’

물리학에서 n은 아이작 뉴턴에서 따온 ‘뉴턴(newton)’이다.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물리학의 단위이다. n이 부정 정수가 아닌 시민의 힘으로 상징돼 문제의 답이 되길 소망해본다.

안태환 원장 약력

▪ 강남 프레쉬이비인후과 의원 강남본원 대표원장
▪ 이비인후과 전문의 
▪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 의학박사
▪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 서울 삼성의료원 성균관대학교 외래교수
▪ 대한이비인후과 의사회 前 학술이사
▪ 대한이비인후과 학회 학술위원
▪ 대한미용외과 의학회 부회장
▪ 대한 레이저 피부모발학회 부회장
▪ 2017년 한국의 명의 100인 선정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