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명동 한 상점에 임시휴업이 붙어있다.[사진=연합뉴스]
서울 중구 명동 한 상점에 임시휴업이 붙어있다.[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유제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에 올해 1분기 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1.3%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 4월 발표된 속보치(-1.4%)보다는 0.1%포인트(p) 상향조정된 수치다.  

지난해 달러화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한국은행은 2일 오전 '1/4분기 국민소득 잠정 통계'와 '2018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9년 국민계정(잠정)'을 발표했다.

한은의 '1분기 국민소득 잠정 통계'에 따르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 대비 1.3% 줄었다. 이는 2008년 4분기(-3.3%)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작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1.4%로, 역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높아졌다.

전분기 대비 기준으로 속보치와 비교하면 제조업(0.8%포인트), 수출(0.6%포인트), 수입(0.5%포인트)
증가율이 높아졌다.

반면 서비스업은 0.4%포인트 낮은 -2.4%로 1998년 1분기(-6.2%)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지출부문 세부항목을 보면, 민간소비가 6.5%나 줄었다. 재화와 서비스 소비 모두 위축됐다. 민간소비
성장률도 마찬가지로 1998년 1분기(-13.8%) 이후 가장 낮다.
    
건설투자(0.5%), 설비투자(0.2%), 지식재생산물투자(0.8%)가 늘면서 총고정자본형성은 0.5% 증가했다.

수출은 자동차·기계류 등을 중심으로 1.4% 줄었고, 수입도 3.6% 감소했다.

1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분기 대비 0.8% 감소했다. 교역조건이 개선되면서 실질 GDP
성장률(-1.3%)을 웃돌았다. GNI는 전체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이자·배당 등 모든 소득을 합친 것이다.

국민경제 전반의 물가 수준을 뜻하는 GDP 디플레이터는 작년 1분기와 비교해 0.6% 떨어졌다.

작년 1분기(-0.6%) 이후 5분기 연속 마이너스 행진으로, 외환위기 직후(1998년 4분기∼1999년 2분기)
3분기 연속 마이너스 기록을 이미 직전 분기에 갈아치웠다.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으로, 소비자 물가뿐 아니라 GDP를 구성하는 투자·수출입 등과 관련된 모든 물가가 반영된 거시경제지표다.

지출항목별로 보면, 수출물가 디플레이터가 2.6%나 낮아져 전체 GDP 디플레이터 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수입물가 디플레이터는 작년 동기 대비 2.4% 올랐고, 내수 디플레이터도 1.7% 상승했다.

우리나라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국제유가, 반도체 가격, 환율, 총수요
압력 등이다.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2%대 초반 정도로 예상됐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지난달 28일 올 상반기 성장률(작년 동기비)을 -0.5%로 추산했다"며 "작년 분기별 성장률과 오늘 나온 올해 1분기 잠정 성장률(-1.3%)을 고려했을 때, 올해 2분기 성장률은 -2%대 초중반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고 설명했다.

박양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2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020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 설명회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박양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2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020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 설명회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같은날 발표한 '2018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9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2115달러로 전년(3만3564달러)보다 4.1% 감소했다. 원화 기준으로는 3693만원에서 3743만원으로 1.4% 증가했다.

이런 감소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10.4%) 이후 최대다. 가장 최근 1인당 GNI가 감소한 적은
2015년(-1.9%)이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높지 않은 가운데 지난해 원화 약세가 달러화 기준 소득을 끌어내렸다.

한국은 2017년(3만1734달러)에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열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다.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3만 달러는 선진국 진입 기준으로 인식돼왔다.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을 보여주는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7381달러(2026만원)로, 2018년(1만863달러)보다 3.8% 감소했다.

한은이 발표한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는 연 2.0%다. 올해 1월 발표한 속보치와 같다.

2018년 GDP 성장률 확정치는 연 2.9%로, 0.2%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지난해 명목 GDP는 1919조원으로, 1년 전보다 1.1% 증가했다. 명목 성장률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0.9%)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았다.

총저축률은 1.3%포인트 내린 34.7%다. 2012년(34.5%) 이후 가장 낮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지난해 총저축은 최초로 감소했는데, 이는 정부 부문의 총저축이 -14.2%로 크게 감소한 데 따른 것"이라며 "경기 둔화에 따른 세수 위축 영향으로 정부 소득 증가세가 2018년 7.6%에서 지난해 0.6%로 크게 둔화한 상황에서 정부가 경기 활성화 차원에서 소비지출은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를 포함한 가계순저축률은 6.0%로, 0.2%포인트 하락했다.

국내총투자율은 0.3%포인트 내린 31.2%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0.9% 하락했다. 1999년(-1.2%) 이후 20년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이다.

박 국장은 "내수 디플레이터가 소비자물가 상승세 둔화로 1.6%에서 1.3%로 낮아진 가운데 수출 디플레이터가 반도체, 액정표시장치(LCD) 등을 중심으로 1.3%에서 -4.8%로 큰 폭으로 하락 전환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노동소득분배율은 65.5%로, 2.0%포인트 올랐다. 한은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3년 이후 가장 높았다.

노동소득분배율이란 한 나라에서 한해 생산활동으로 발생한 소득 가운데 자본을 제외한 노동에 배분되는 몫을 가리킨다. 급여, 즉 피용자보수를 국민소득(NI·피용자보수와 영업잉여의 합계)으로 나눠 얻는다.

영업잉여가 통계 공표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감소한 가운데 피용자보수 증가율(3.4%)이 국민총소득 증가율(1.6%)을 상회한 데 따른 것이다.

한은은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소주성) 정책이 노동소득분배율 상승에 일부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박 국장은 "소주성 관련 정책들이 일부 영향 주면서 노동소득분배율의 상승에 영향을 준 건 맞지만, 그 영향이 어느 정도였는지는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