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이뉴스투데이 윤진웅 기자] 미국 재무부가 당국 항공사들에 30조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항공업계의 일자리를 유지하고 파산을 막기 위한 조치다.

반면, 우리나라는 항공업에 대한 지원이 더뎌지고 있다. 복잡한 차입구조와 이해관계자의 고통분담원칙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정부나 채권단이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

16일 외신 보도에 따르면 스티브 므누신 미 재무부장관은 14일(현지시간) 델타항공 등 미국 10개 항공사와 250억달러(약 30조 4000억원) 규모의 재정을 지원하는 방안에 잠정 합의했다.

아메리칸항공은 58억달러, 사우스웨스트항공은 32억달러를 각각 지원받는다. 델타항공은 10년만기 저리 대출 16억달러를 포함해 총 54억달러를 지원받을 전망이다.

미국 재무부는 이들 항공사의 주주가 된다. 각 항공사는 대출받은 금액의 30%를 나중에 갚는 대신 대출금의 약 10%를 신주인수권 형태로 재무부에 팔기로 했다.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성명에서 "필요한 합의를 매듭짓고, 가능한 빨리 지원할 것"이라며 "이번 합의로 미국 근로자를 지원하고 항공 업계의 전략적 중요성을 유지할 뿐 아니라 납세자들이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이번 지원과 별개로 항공업계 영업 재개를 위해 250억달러에 이르는 융자를 추가 제공할 계획이다. 앞서 미국 의회는 지난달 최대 500억달러의 구제금융을 항공업계에 수혈키로 한 바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항공업에 대한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종합항공사부터 저비용항공사까지 지원할 대상이 여러 곳이라 고려할 사항도 그만큼 많아서다.

특히, 차입구조가 복잡하다는 점에서 지원이 늦어지고 있다. 대형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금융회사 차입금, 회사채, CP와 매출채권 자산유동화증권(ABS) 등이 얽혀있다. ABS는 신용카드 등으로 항공권을 사면 일정 부문을 ABS 투자자들이 갖고 나머지를 항공사가 갖는 구조다.

여기에 항공기 리스까지 더해지면 차입구조는 더욱 복잡해진다. 항공기 리스사가 해외에 있어 리스료 인하 없이는 지원금이 결국 이들의 이익으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대한항공을 비롯해 다른 국적항공사들의 대규모 적자가 이어지며 수개월 내 도산하는 항공사가 나올 수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LCC 1위인 제주항공은 올해 1분기 500억원가량 영업손실이 예상된다. 다른 국적 항공사들을 더한 국내 항공업계의 매출손실은 1분기에만 6조원이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조속한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