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월 8일 문재인 대통령이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K-아트홀에서 열린 코리안 5G 테크 콘서트 ‘세계 최초 5G 상용화, 대한민국이 시작합니다’ 행사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지난해 4월 8일 문재인 대통령이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K-아트홀에서 열린 코리안 5G 테크 콘서트 ‘세계 최초 5G 상용화, 대한민국이 시작합니다’ 행사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이뉴스투데이 여용준 기자] 세계 최초 5G 상용화가 이뤄진 후 지난 1년 동안 5G 가입자가 500만명을 돌파했다. 또 통신장비와 단말기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 1년 성과를 2일 소개했다.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실현하기 위해 정부는 2017년말 로드맵을 마련하고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로 5G 시범서비스를 선보였다.

이후 5G 인프라 조기 구축을 위해 같은 해 6월 주파수 경매를 계획 대비 1년 앞당겨 실시하고 통신사들의 중복투자를 줄이기 위해 필수설비 공동구축·활용 관련 제도를 개선했다.

5G 단말기 도입과 무선망 구축에 필요한 전파인증 및 무선국 허가·검사를 위한 무선설비 기술기준을 마련하고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 5G 체험관을 운영해 해외에 우리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같은 해 10월에는 5G 장비·단말에 대한 전파 인증을 진행했다.

2018년 12월 1일 세계 최초로 5G 전파를 발사하고 모바일 라우터 기반 B2B 상용서비스를 개시한 이후 2019년 4월 3일 세계 최초로 스마트폰 기반 5G 서비스를 상용화했다.

정부는 지난해 4월 8일 ‘KOREAN 5G Tech-Concert’로 이름 붙인 상용화 기념행사를 개최하면서 세계 최고 5G 생태계 조성을 위한 ‘5G+ 전략’을 발표했다. 이어 5G+ 전략 추진을 위해 관계부처와 민간 업계‧전문가가 참여하는 ‘5G+ 전략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또 △15대 5G+ 전략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콘텐츠산업 3대 혁신전략 △5G+ 핵심서비스 융합보안 강화방안 △5G 기반 스마트공장 고도화 전략 △5G+ 스펙트럼 플랜 등 10여개의 후속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 추진성과로는 네트워크 장비 글로벌 점유율 20%와 차세대 스마트폰 분야 세계 1위를 상용화 첫해부터 목표를 조기 달성하고 중소기업 동반성장, 해외 수출계약 체결, 5G 국제협력 등 성과를 냈다. 

가입자와 기지국 간 코로나19 확산으로 매장가입 고객이 저조한 상황에서도 상용화 약 10개월 만에 5G 가입자가 500만명을 넘어섰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계 최초로 5G 단말을 출시한 이후 듀얼스크린, 폴더블 스마트폰, 5G 태블릿 등을 출시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5G 장비도 삼성전자는 세계시장 3위를 유지하며 화웨이와 에릭슨, 노키아가 차지한 장비 시장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5G 상용화로 통신사들의 망 투자 확대 등에 따라 중소기업들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 사례도 꾸준히 늘고 있다. 통신기술 협력, 장비·콘텐츠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배우기 위해 각 국 정부·통신사에서 우리나라를 방문하고 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5G 최고경영자 회의, 5G 버티칼 서밋 2019 등을 개최해 경험을 전 세계와 공유했다.

정부는 5G 상용화 직후부터 추경으로 약 230억원을 편성하는 등 3400여억원을 투입해 5G 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했으며 올해는 87% 증가한 65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국내 5G 단말기 제조기업이 해외에 나가지 않고도 국제인증을 획득하여 단말기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인증비용을 줄일 수 있는 국제공인 인증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정보보안 분야에서는 융합보안핵심인재 양성을 위해 5G+ 5대 핵심서비스 분야 등을 중심으로 융합보안 대학원 3개교(고려대, KAIST, 전남대)를 선정했다

실감콘텐츠 분야에서는 5G 콘텐츠 플래그십 사업을 통해 실감콘텐츠 5대 분야 선도과제 제작을 지원했다. 초기기업 성장지원을 위해 300억원 펀드를 조성하고 해외에 5G 콘텐츠 공급을 위해 미국 LA, 베트남 호치민 등에 5G 콘텐츠 체험관을 구축했다.

세계 최초로 산업용 5G 단말 시제품을 개발했으며 5G 스마트공장을 중소기업 3곳에 보급했다.

서울 상암에 차량전용 5G 통신 인프라를 구축해 민간의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및 자율협력주행 기술개발을 지원했으며 경기도 판교에서 자율주행셔틀을 시범운영했다.

정부는 민간의 5G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2019년부터 2년간 5G 망 투자 세액공제를 추진 중이다. 올해부터는 세액공제율과 대상을 확대한다.

이밖에 무인기지국 원격전원관리시스템에 대한 ICT 규제샌드박스를 지정해 기지국 유지관리비용 절감이 기대된다. 또 2026년까지 5G 주파수를 약 2배 확대하는 ‘5G+ 스펙트럼 플랜’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이와 관련해 8일 제 3차 5G+ 전략위원회를 열고 세계 최초 5G 상용화 1년간 성과를 되돌아보고 2020년 5G+ 전략 추진계획을 점검할 계획이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