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10월 30일 군산유수지 수상태양광 부지에서 전북도청과 새만금개발청 주관으로 열린 '새만금 재생에너지 비전 선포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전북도청]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10월 30일 군산유수지 수상태양광 부지에서 전북도청과 새만금개발청 주관으로 열린 '새만금 재생에너지 비전 선포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전북도청]

[이뉴스투데이 유준상 기자] 에너지저장장치(ESS) 사고 원인이 배터리로 지목되면서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 먹구름이 끼는 분위기다. ESS는 에너지 전환의 ‘주춧돌’ 재생에너지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히든카드였기 때문이다.

지난 6일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 조사단은 “작년 8월부터 10월까지 발생한 5건의 ESS 화재사고를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배터리 이상이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김재철 공동 조사단장(숭실대 전기공학부 교수)은 “배터리 이상이 추정되는 것은 배터리를 제조할 때에 일부 배터리에서 조금씩 문제가 있었던 점과 과충전, 과방전, 저전압 등 운영상의 문제가 합해진 것으로 해당 배터리를 계속 쓰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앞서 소재 부품과 외부 요인이 화재 원인으로 지목했던 정부가 자체적으로 판단을 뒤집은 것이다.

ESS 산업이 조기 쇠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유관업계 관계자는 “배터리는 고도의 화학기술 집약체라 발화 원인을 규명하고 해결하는 작업이 시일이 오래 걸리거나 불가능할 수도 있다”며 “해결 시일이 더뎌질수록 ESS 산업의 장기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이전까지 ESS는 전력 산업의 판도를 바꿀 ‘신성장동력’으로 급부상했었다. 생산된 전기는 저장이 어려워 생산과 동시에 소비돼야 하는 한계를 가지는데 ESS를 활용하면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공급할 수 있는 점이 주효했다.

이 때문에 특정 시간대에만 발전이 가능한 재생에너지의 취약성을 극복할 대안으로 떠올랐다. 태양광과 풍력은 햇빛의 광전효과와 바람의 힘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기 때문에 기존 전력원처럼 임의로 출력을 조절할 수 없다. ESS를 병행하면 이같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발전원의 출력을 안정화할 수 있고, 최대 부하 관리도 가능해진다. ESS의 보급이 확대되며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계획의 ‘기대주’로 자리 잡았던 이유다.

그러나 이번 ESS 사고 진단으로 장기 침체 분위기가 짙어지면서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계획에 먹구름이 몰려오고 있다. 정부 에너지 정책의 주축인 재생에너지의 날개가 꺾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번 다섯 차례 사고 또한 태양광 및 풍력 발전설비 연계 ESS에서 발생한 점은 이러한 주장에 힘을 실어준다.

한 에너지 전문가는 “새만금과 같이 재생에너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클러스터는 전력 생산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소비량과의 균형을 맞추는 일이다”며 “ESS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공급 부족, 과전압, 심하면 정전 사태와 같은 재생에너지의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 없어 전력수급이 위태롭게 된다”고 설명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