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오전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 신고가 접수된 인천시 강화군 불은면 한 양돈농장 입구에 외부인 출입을 막는 바리케이드가 설치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25일 오전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 신고가 접수된 인천시 강화군 불은면 한 양돈농장 입구에 외부인 출입을 막는 바리케이드가 설치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이하영 기자]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확진 사례가 잇따르며 정부 대응을 믿었던 돈육업계가 냉가슴을 앓고 있다.

26일 돈육업계에 따르면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소식이 잇따르자 돼지농가와 관련 업계가 애끓는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특히 새끼를 낳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어미돼지 ‘모돈’이 살처분 될 경우 1년반 동안 돈육시장이 멈추는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앞서 17‧18일 경기도 지역에서 초기 확진 사례 발견 이후 일시 잠잠하던 돼지열병이 태풍 타파가 불어 닥친 22일 이후 23일부터 인천 등 북한 인근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아직까지 전파 경로 파악이 되지 않았지만 북한 하천 등을 통한 돼지열병 전염 가능성이 제기되며 돈육업계는 그야말로 빨간불이 켜졌다.

이런 가운데 업계 관계자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은 모돈 폐사다. 모돈을 얻기 위해서는 기나긴 시간이 필요하다. 해외에서 원종돈을 수입해와 키운 것을 종돈이라 하고 각 돼지농장에 보내지는 어미돼지가 모돈이다. 돼지고기로 소비되는 자돈을 생산하기까지는 45개월여 시간이 걸린다.

2017년 기준 모돈 한 마리당 17.8마리를 출산한다. 모돈 1마리가 폐사할 경우 연간 18마리 가량 새끼돼지(자돈)가 사라진다고 볼 수 있다. 3~4년간 공백기가 생긴다. 

26일 오전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진행하는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 [사진=농식품부]
26일 오전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진행하는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 [사진=농식품부]

원종돈에서 모돈을 얻기까지도 18개월 가량 즉 1년 반 가량 시간이 걸린다. 원종돈과 종돈이 살아있더라도 살처분 된 돼지농장에서는 최소 1년 반을 기다려야 새로운 종돈을 얻을 수 있다.

국내 축산 1번지로 불리며 전국 돼지 사육두수 약 20%를 차지하는 충남으로 돼지열병이 확산될 경우 양돈산업 침체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아울러 돼지들이 살처분 되며 비료사업 운영 정지를 비롯해 신선육 사업과 가공 사업 등 여러 돈육 관련 사업에 지장을 줄 수밖에 없다. 수입육 등이 늘어난다면 이와 관련한 금액도 피해 규모에 포함될 수 있다.

실제 중국매체 차이신은 25일(현지시간) 리더파 중국농업대학 동물과학기술학원 원장 발언을 인용해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따른 중국 양돈 산업 피해 규모가 1400억 달러(약 168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전해 파장이 일었다.

리 원장 이 발언은 돼지 사료 산업과 요식 산업 등 양돈 산업 사슬 전후방 산업 피해를 제외한 것으로 이와 같은 부분이 포함될 경우 피해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돈육업계 관계자는 “정부 부처 방역 대책을 믿었는데 북한 하천으로부터 유입이 언급돼 뼈아프다”라며 “돼지열병이 얼마나 확산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피해 규모 또한 예측불가능”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김 장관은 “농식품부, 농진청, 산림청 합동점검 결과 농장초소 등이 충분히 설치되지 않았고 일부 농장과 관련 시설의 방역이 미흡했다”며 “오늘 12시까지 발령 중인 전국 일시이동중지명령 기간을 48시간 연장할 계획”이라고 방역 강화 방침을 전했다.

청와대도 25일 돼지열병 대응 태스크포스팀을 만들고 이호승 경제수석을 주축으로 매일 오전 회의를 열고 대응 방향을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