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이 26일 광화문 소재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 하고 있다. [사진=송혜리 기자]
박현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이 26일 광화문 소재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 하고 있다. [사진=송혜리 기자]

[이뉴스투데이 송혜리 기자] “현재 국가 미래 경쟁력을 쥐고 있는 것은 인공지능(AI)입니다. 이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이제부터 AI분야를 총괄적으로 연구·수행하는 AI정책연구소로 거듭나 국가 산업발전을 도모하겠습니다.”
 
설립 6년차를 맞은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국가 AI 정책을 마련하는 전문 연구소로 새 기반을 다진다. 지난 6월 취임한 박현제 신임 연구소장이 총대를 멨다. AI 정책 연구를 대폭 강화하고 AI분야 국가 전략 방안을 마련한다. 장기적 계획으로는 국가 디지털 전환과 오픈소스 활용 확대 등에도 공을 들인다.

26일 연구소는 서울 광화문 소재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AI로 재편될 연구소 비전을 밝혔다. 그간 연구소는 소프트웨어(SW) 정책 연구기관으로 중등 SW교육 의무화, SW중심대학 사업, SW산업진흥법 전면 개정 등 범부처 SW 정책 수립에 조언자 역할을 했다.

박현제 연구소장은 “현재 SW 분야에서 미래 국가 경쟁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AI”라며 “AI는 단순 SW이라기 보다는 사회 혁신이나 사회 전체를 바꾸고 우리 산업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AI중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그는 “현재 AI 1그룹이 미국과 중국이라고 하는데 2그룹 후반인 우리가 조금이라도 AI 연구를 빨리 시작했다면 2, 3년만 빨랐다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들었다”며 “당장 앞설 순 없지만 리더 그룹으로 포함될 수 있는 상황으로 이끌어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연구소는 AI로 탈바꿈한다. 연구 목표가 AI 중심으로 세워졌고 이에 따른 인력배치, 인력교육 등도 모두 AI로 통한다.

우선 AI정책연구를 대폭 강화한다. AI산업 실태조사, AI기업과 인재육성 방안, AI분야 법·제도, 차세대 AI기술 확보 방안, 지능화 지수 개발 등 연구를 추진하고 AI통계, AI포털서비스 신설 등 연구 지원 서비스도 강화한다. 또 AI활용과 관련된 중소기업 수요를 고려해 교육기관을 통한 재직자 대상 AI활용교육과 컨설팅 체계 구축 연구를 먼저 추진할 계획이다.

박 연구소장은 “AI 관련 제도나 통계, 각종 인프라, 인력에 대해 포괄적이고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국가 대표 정책연구기관이 되겠다”며 “AI 자체뿐만 아니라 AI통해 전 산업이 혁신적으로 발전하도록 하는 것에 향후 3년 동안 집중해 보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연구소는 이달 초 조직개편을 통해 AI정책연구팀을 신설하는 한편 모든 직원 AI역량을 높이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AI정책연구팀뿐 아니라 타부서에서도 AI신뢰성과 안전확보 연구(AI·SW안전연구팀), 지능화 지수 개발(데이터분석·동향팀), 맞춤형 AI통계포털 구축(AI·SW통계연구팀) 등 AI융합연구를 진행한다.

박 연구소장은 “전 직원이 AI를 업무에 활용하도록 AI교육을 하고 있고 현재 SW관련 업무도 AI로 고도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며 “특히 문서 작성 등 이런 것들에서 머신러닝을 이용해 퍼포먼스를 높이고 있는데 연구소 내 AI를 아는 인재가 30%가 넘기기 때문에 그런 역량을 잘 활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연구소는 장기계획으로 국가 디지털전환 정책 방안 제시, SW융합 촉진과 산업 활성화 정책연구, 글로벌 협력·연구성과 공유 등도 추진한다.

국가 디지털 전환을 위해 미래 노동·복지·교육·일자리 분야 국가 혁신방안을 제시하고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역기능, 사회적 갈등 해결방안을 마련한다. SW산업과 생태계 육성을 위해서는 오픈소스 활용 확대, 공정경제 기반 SW생태계 개선방안 제시 등을 추진한다.

박 연구소장은 “SW생태계 역할을 하는 오픈소스 가치를 이제 돌아볼 때가 됐다”며 “정부 각계에서도 오픈소스를 시스템 전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여 오픈소스를 실제 산업과 국가에 적용하는 방안을 지속해서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