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여용준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사실상 경영에 완전 복귀했다. 2017년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뇌물공여 혐의로 구속됐다가 지난해 2월 석방된 이후 16개월만이다. 지난해에는 대외 활동과 사업구상에 집중하며 조용한 행보를 보였다면 올해는 각 사업부문을 직접 챙기며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하는 모양새다. 

반도체와 모바일 등 주력 사업에서 위기감이 커지면서 이 부회장이 직접 등판했다는 의견도 있지만 삼성바이오로직스 검찰 수사와 국정농단 대법원 선고를 앞두고 역할론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 부회장은 이달 초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DS부문 사장단과 간담회를 갖고 앞으로 대책과 전략 등을 논의했다. 이어 14일에는 모바일 사업을 전담하는 IM부문 사장단과 간담회를 가진 뒤 17일 삼성전기를 방문해 전장용 MLCC와 5G 이동통신 모듈 등 주요 신사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점검했다. 

이어 TV와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CE부문과도 간담회가 예정돼있으며 전자 부문 다른 계열사도 방문해 신사업 현황을 둘러볼 예정이다. 

이 부회장은 그동안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국무총리 등 정계 인사들과 직접 만나며 대외업무에 주력했으나 올해 들어 사업부문에도 직접적인 주문을 넣는 모습이다.

14일 IM부문 사장단과 간담회에서 이 부회장은 “지금은 어느 기업도 10년 뒤를 장담할 수 없다. 그 동안의 성과를 수성(守城)하는 차원을 넘어 새롭게 창업한다는 각오로 도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이 부회장은 IM부문의 하반기 경영전략을 재점검하고 어떠한 경영환경 변화에도 흔들리지 말고 미래를 위한 투자는 차질 없이 집행할 것을 주문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5G 이후의 6G 이동통신, 블록체인, 차세대 AI 서비스 현황과 전망은 물론 글로벌 플랫폼 기업과의 협업 방안도 논의했다.

앞서 1일 경기도 화성사업장에서 열린 DS부문 사장단 회의에서 이 부회장은 “단기적인 기회와 성과에 일희일비하면 안 된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삼성이 놓치지 말아야 할 핵심은 장기적이고 근원적인 기술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라며 초격차를 강조했다.

특히 “지난해에 발표한 3년간 180조원 투자와 4만명 채용 계획은 흔들림 없이 추진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활성화에도 기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삼성은 4차 산업혁명의 '엔진'인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2030년 세계 1등이 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마련한 133조원 투자 계획의 집행에도 만전을 기해 달라”고 전했다. 

이 부회장의 이같은 행보는 올해 초부터 시작됐다. 이 부회장은 새해 첫 경영활동으로 경기도 수원사업장 5G 통신장비 생산라인을 방문해 직원들을 격려했다. 

이 부회장의 경영 행보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로도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출소 후 세 차례 해외 출장을 나서면서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와 만난 이 부회장은 올해 구체적인 사업 논의를 위해 벌써 두 차례 해외 출장을 다녀왔다. 

지난달에는 일본 도쿄를 방문해 일본 양대 통신사인 NTT도코모, KDDI와 5G 관련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일본은 화웨이 통신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국가인 만큼 이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또 ‘갤럭시 하라주쿠’를 직접 방문해 갤럭시 스마트폰에 대한 고객 반응을 직접 살피기도 했다. 

이보다 앞서 2월 설 명절 기간에는 중국 시안에 위치한 삼성전자 메모리 공장을 방문해 임직원들을 격려하고 2공장 건설현장을 둘러봤다.

한편 이 부회장이 경영 전면에 직접 나서는 것에 대해 재계 일각에서는 삼성전자 사업지원TF팀이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증거인멸과 관련 검찰수사로 마비됐기 때문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삼성전자 내 각 사업부문과 계열사 간 조정 업무를 진행하던 사업지원TF팀이 마비되면서 이 부회장이 직접 투자 계획을 챙긴다는 분석이다. 

또 삼성바이오로직스 검찰 수사망이 윗선을 향하는데다 국정농단 대법원 선고까지 앞두고 있어 이 부회장의 ‘역할론’을 강조하기 위한 움직임이라는 의견도 있다. 미중 무역분쟁과 글로벌 시장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삼성전자의 위기설이 커지는 가운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 부회장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목적이라는 주장이다. 

실제로 지난해와 올해 정계 인사들과 잇따라 만나며 대외활동을 강화한 것에 대해서도 이같은 목적이 있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된 바 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