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1이 충남 대산에서 운영중인 고압가스 저장시설.

[이뉴스투데이 이상헌 기자]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액화석유가스(LPG) 차량 규제가 풀리면서 LPG업계와 영세 주유소의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지난 19일 국무회의에서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이 통과됨에 따라, 일반 자동차의 LPG연료 사용이 전면 허용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수십년 이어져온 규제를 전면 폐기한 것은 LPG차량을 경유차의 대체 차종으로 봤기 때문이다. 법 개정에 따라 일반인에게도 1600cc미만 소형, 1600~2000cc미만 중형, 2000cc이상 대형승용자동차의 LPG연료 사용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주유업계에서는 정부가 이번 결정을 내리기에 앞서 하루가 멀다 하고 문을 닫는 업체가 속출하는 주유업계의 현실을 간과했다는 목소리가 크다.

앞서 주유업계는 정부의 이번 대책을 미세먼지 팔아 국민을 현혹하는 포퓰리즘으로 규정하면서 LPG차량 사용제한 완화 법안 철회를 요구해왔다. 

한국주유소협회 관계자는 “정부가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매우 큰 상황을 틈타 친환경적이지 않은 LPG차량을 친환경 차량인 것처럼 둔갑시켰다”고 비판했다.

협회에 따르면 LPG차의 사용제한 전면 완화시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최대 39만6072톤(2030년 기준)까지 증가함에도 산업부는 ‘미세먼지 저감효과’만 홍보하며 고려하지 않았다.

특히 수입업체가 SK가스와 E1으로 양분된 LPG 충전업계의 덩치는 키우면서도, 영세주유소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없었다는 것이 업계의 분노를 크게 하는 부분이다.

2010년의 1만2691곳이던 주유소는 8년 사이 1138곳이 문을 닫아 지난해말 기준 1만1553곳에 그치고 있다. 일년에 130곳 이상이 문을 닫는 셈이다.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주요소를 운영하는 A씨는 “대기업 직영점 난립과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알뜰주요소 등장으로 민간이 설 자리는 없어진지 오래”라고 말했다. 또 그는 “최저임금 인상까지 겹쳐 무인화 설비 투자가 어려운 주유소는 영업 시간을 줄이거나 문을 닫을 수밖에 없어졌다”고 토로했다.  

반면 SK가스와 E1은 이번 정부 발표에 화색이 역력하다. 현재 205만대 수준의 LPG 등록 대수가 2030년이면 약 330만대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신규 충전소 부지 선정에 한창이다. 3월 기준 전국 LPG 충전소는 1948개 가량이다.

SK가스 한 관계자는 “영세주유소 입장에서는 타격으로 볼 수도 있지만 그간 LPG 충전소가 받아온 역차별도 만만치 않았다”며 “매년 차량 대수가 줄어 고사 위기에 처하던 중에 이제서야 규제가 풀린 것”이라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