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시중은행이 DSR, RTI 등 규제가 강화되자 가계대출이 아닌 기업대출을 적극 취급하고 있다. <사진=각사>

[이뉴스투데이 김민석 기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지난달 31일을 기점으로 본격 도입되자 가계대출 증가세는 둔화된 반면 기업대출은 우상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KEB하나·신한·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은 올해 9월 말 기준 428조5090억원의 기업대출 잔액을 기록했다. 403조1580억원을 취급했던 지난해 말과 비교해 6.3%나 증가한 규모다.

국민은행은 올해 3분기 114조5000억원의 기업대출을 취급하며 105조1000억원이던 지난해 말보다 8.9% 상승한 모습을 보였다. 4대 은행 가운데 최고 성장세다.

하나은행이 89조770억원에서 95조6960억원으로 7.4%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또 신한은행(5.6%), 우리은행(3.5%) 등도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4대 은행 가계대출 잔액 증가세는 둔화됐다. 올해 9월 말 4개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455조3820억원으로 집계됐다. 434조3580억원을 취급했던 지난해 말과 비교해 4.8% 증가하는데 그쳤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의 상반된 상황은 DSR과 임대업이자상환비율(RTI) 규제가 시행되면서 가계대출 옥죄기가 본격 시작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31일부터 DSR이 70%를 초과하는 대출 신청자를 ‘위험대출’로 분류하는 내용의 규제를 본격 도입했다. DSR는 돈을 빌린 사람의 모든 원리금과 이자 상환액을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당국은 시중은행에 DSR 70%이상 대출을 15% 이내로 관리하라고 주문했다. 시중은행 입장에선 대출 심사를 깐깐하게 할 수밖에 없다.

함께 강화된 RTI규제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RTI는 대출이자에 대한 임대료 비율로 임대료 금액에 따라 대출을 취급하는 방식이다.

금융당국은 주택 1.25배, 비주택 1.5배 등 기본 RTI비율은 유지했지만 각 은행이 자율적으로 정한 한도, 대출 승인 여부 등 예외 규정을 전면 폐지했다.

이처럼 가계대출 옥죄기가 지속되는 만큼 향후 기업대출 증가세가 가팔라질 것이란 전망이 등장하고 있다. 금융권에선 정부가 중소기업 금융지원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은행도 기업대출에 소극적일 이유가 없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