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오피스텔 시장에서 수도권과 지방간 거래가격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사진은 강남구 대치동 일대 아파트 전경. <사진=유준상 기자>

[이뉴스투데이 유준상 기자] 최근 오피스텔 시장에서 수도권과 지방간 거래가격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아파트 매매시장 사정에 따라 ‘반사효과’ 혹은 ‘후광효과’를 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돼 오피스텔매물 투자 시 참고할 요인으로 보인다.

22일 부동산정보 서비스 직방은 오피스텔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부터 서울과 그 외 지역의 가격 차이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서울의 오피스텔 가격은 최근 몇 년간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호당 평균 실거래 가격은 2011~2014년 1억8000만원대에 머물더니 2015년 2억원을 돌파, 2018년 2억4713만원으로 상승했다. 경기ㆍ인천도 2015년부터 가격이 빠르게 상승했다. 반면 지방은 2016년 평균 거래가격 1억2289만원을 기록한 이후 하락세로 전환됐다.

전용면적 기준 ㎡당 실거래가격도 결과는 똑같다. 서울은 전용면적 ㎡당 2018년 들어서 600만원 이상으로 상승해 평균 623만원에 거래가 됐다. 2015년 500만원을 돌파한 이후 3년만에 거래가격이 상승했다. 2009년 400만원 돌파 이후 6년 만에 500만원대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상승 속도가 두 배로 빨라졌다.

경기ㆍ인천은 2017년 소폭 하락한 이후 다시 상승하면서 전용면적 ㎡당 거래가격 351만원을 기록했다. 지방은 건당 거래가격 하락과는 달리 전용면적 ㎡당 거래가격은 꾸준히 상승하면서 283만원에 거래됐다. 다만 서울과 경기ㆍ인천의 가격 상승에 비해 2017년 대비 4만원 증가에 그치면서 증가폭은 낮았다.

직방은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서울과 경기ㆍ인천은 아파트 분양시장 침체기에 대체 상품으로 오피스텔 공급이 크게 늘어난 데다 택지지구 개발지역에 공급된 용지에 신축 오피스텔이 공급되며 가격 상승폭이 커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이 오피스텔 가격을 견인하기도 했다”면서 “지방은 지역경제 침체로 인한 고용 불안으로 임차수요의 감소, 아파트 매매시장의 침체가 영향을 미치면서 하향 안정세가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이에 오피스텔 매매가격이 서울과 경기ㆍ인천은 상승, 지방은 하향 침체를 보이면서 서울과 줄어들던 가격 차이가 다시 벌어지고 있다.

전용면적 기준 ㎡당 경기ㆍ인천 대비 서울 오피스텔 평균 실거래가격은 2016년 1.58배까지 줄어든 이후 격차가 확대되면서 2018년은 1.78배를 기록했다. 지방과 서울의 오피스텔 거래가격의 격차도 빠르게 벌어지고 있다. 지방과 서울의 오피스텔 실거래가격 차이는 2015년 1.99배에서 2018년 2.20배로 차이가 커졌다. 2009년 2.20배에서 2015년 1.99배로 줄어들 때 까지 6년이 걸린 반면, 다시 2.20배로 차이가 커진 기간은 3년이 걸리지 않았다. 장기간에 걸쳐 줄어든 가격차가 다시 커지기까지는 절반밖에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시도별 전용면적 기준 ㎡당 오피스텔 매매 실거래 평균 가격은 2018년 서울이 623만원으로 가장 높고, 그 뒤를 이어 경기가 393만원에 거래됐다. 지방은 세종 387만원, 제주 347만원, 부산 333만원, 대구 305만원의 순으로 거래가 발생했다. 대전, 전북, 전남은 200만원 이하에 거래가 이루어지면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경남은 지역 주력산업의 부진 여파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아파트뿐만 아니라 오피스텔도 수도권과 지방의 가격 격차가 벌어지는 양상이다. 서울은 고용여건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고, 대학 등의 교육시설로 인해 임차수요 유치가 상대적으로 양호해 오피스텔 투자여건이 우수하다. 지방은 제조업 중심의 지역 주력산업으로 임차시장 여건이 양호했다. 하지만 지역 내 주력산업의 구조조정으로 취업상황이 악화되면서 주택 임차시장의 어려움으로 수익성이 떨어지는 모습이다. 아파트 매매시장 침체도 동반되면서 지방 오피스텔 매매시장의 하향 안정세가 이어지고 있다.

나아가 미국 발 금리인상에 따른 국내 금리인상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지방은 임차 수요기반이 취약해지고 있어 오피스텔 투자여건 악화는 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