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업계가 건축허가 면적 감소, 골재수급난, 제품원가 인상 등으로 탈출구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사진은 울산의 한 레미콘 공장[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신승엽 기자] 레미콘업계가 건설경기 하락, 골재수급난, 제품원가 인상 예상 등으로 ‘삼면’이 막혀 시름하고 있다. 대내외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해 대책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레미콘업계는 건축허가 감소로 출하량이 크게 줄었다. 유진기업, 아주산업, 한일시멘트, 쌍용양회, 동양, 성신양회, 아세아시멘트 등 7대 레미콘업체들의 상반기 출하량은 1544만2185㎥로 전년 동기(1753만8777㎥) 대비 11.9% 감소했다. 지난 2016년 상반기(1615만6953㎥)와 비교해도 4.4% 줄어들었다. 

7대 레미콘사의 출하량 감소는 건설경기 악화로 인한 건축허가 면적 감소가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에 따르면 지난해 건축허가 연면적은 8326만6174㎡로 올해 8139만6915㎡ 까지 감소했다. 

이중 주거용 건축허가 면적이 크게 감소했다. 이번 상반기 주거용 건축허가는 2840만5262㎡로 전년 동기(3430만7806㎡) 대비 17% 감소했다. 7대 레미콘사의 주요 사업장인 서울지역 건축허가 면적도 크게 줄었다. 서울지역 건축허가 면적은 지난해 942만9625㎡을 기록했지만, 올해 684만6696㎡로 나타나며 27.3% 하락했다.

업계 관계자는 “7대 업체 중 전국적인 판매망을 가진 업체는 피해가 적은 편이지만, 서울지역을 집중 공략하는 업체는 타격을 피할 수 없다”며 “최근 정부가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생활밀착형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확대 카드를 꺼냈지만, 레미콘업계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골재 수급 문제도 발생했다. 레미콘에는 주로 자갈, 모래, 시멘트, 물 등이 원료로 사용된다. 이중 바다모래 수급에 차질이 생겼다. 지난해 말 정부는 골재수급 안정화대책으로 올해 남해·서해 배타적경제수역(EEZ)을 포함한 바다골재 채취 지역 3곳에서 총 2100만㎥의 모래를 채취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현재까지 단 1곳만 허가를 받으면서 약 780만㎥만 공급됐다.

골재 채취 허가를 막아선 것은 해양수산부였다. 수협중앙회와 골재 채취장 인근 어민들이 어족 자원 생태계 파괴를 이유로 반대여론이 거세지자 해수부가 바다모래 채취를 차단한 것이다. 업계는 전남대학교와 해양환경공단이 실시한 어업피해조사에서 모래 채취와 어업 피해의 연관성을 찾기 어렵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항의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바닷모래를 사용할 경우 다른 원자재를 적용했을 때보다 높은 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안전성 측면에서 필요한 원자재”라며 “공급이 줄어들어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시멘트업체들의 가격 인상 의지도 레미콘업계를 옥죄고 있다. 시멘트 판매가격은 업체 간 출혈경쟁으로 인해 책정된 금액(톤당 7만5000원)보다 1만원 적은 톤당 6만5000원 수준으로 거래되고 있다. 시멘트업계도 건설경기 하락과 직면한 상황이기 때문에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판가 인상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레미콘사는 시멘트업계와 건설업계 사이에 끼인 중간 단계이기 때문에 시멘트 판가가 인상돼도 건설사와의 관계 거래를 이어가기 위해 가격 인상 카드를 꺼내들 수 없다. 건설사도 시멘트를 직접 구매하는 경우가 있어 3자 협상이 이뤄질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업체들의 경우 피해를 볼 수 있는 구조라는 것이 업계측의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건설경기를 비롯한 다른 요인들이 악재로 작용하고 있지만, 이는 정책과 관련된 외부요인의 영향이기 때문에 대응책을 마련하기 어렵다”며 “대형업체들은 사업다각화를 진행하는 등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중소업체들은 탈출구를 찾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