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완전한 에너지 자립’을 위해 자체적인 계획을 발표했다. 그 중심에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가 자리하고 있다. <사진제공=제주관광공사>

[이뉴스투데이 유준상 기자] 제주도가 ‘완전한 에너지 자립’을 위해 자체적인 계획을 마련했다. 신재생에너지를 동력의 주축으로 삼고 액화천연가스(LNG)를 병행하겠다는 방침인데 최근 각종 부작용으로 에너지 전환에 어려움을 겪는 육지에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지난 24일 제주도는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중심 전력 자립을 목표로 설정한 ‘제5차 지역에너지계획’을 발표했다. 

계획기간은 2018년부터 2027년까지 10년이며 △전기 중심의 에너지 자립 기반 구축 △에너지원별 균형 공급의 안정적 유지 △신재생에너지 특화발전 지역 실현이 핵심 뼈대를 이루고 있다.

5차 지역에너지계획은 6대 분야와 27개 사업을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친환경에너지 보급사업으로 태양광 지원사업, 풍력자원개발사업 등이 담겼다. LNG 복합화력 건설사업, 제3해저연계선 건설사업, 제주 애월 LNG기지 건설사업 등이 제시됐다. 전기자동차, 실증화단지 등 관련산업 육성 및 제품 공급 등도 포함됐다.

이번 계획은 정부의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반영된 제주도 자체 에너지계획 ‘탄소없는섬(Carbon Free Island) 2030’을 근거로 수립됐다. 신재생에너지 확대 공급으로 에너지 자립도를 실현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제주도 관계자는 “탄소없는섬 2030은 탄소를 배출하는 기존 화력 발전을 감소시키고, 2030년까지 친환경 에너지원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늘리는 게 목표”라며 “다만 신재생에너지원이 비기저발전임을 고려해 조절력을 갖춘 LNG발전을 병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제5차 지역에너지계획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제주 도내 전력 공급 방식은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100% 대체된다. 제주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확대되면서 안정적으로 도내 전력 공급을 하고 있는 점이 반영됐다.

실제로 제주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 공급 비중은 꾸준히 상승해왔다. 본지가 전력거래소 제주지사에 요청한 자료에 의하면 최근 5년간 제주에 공급되는 전체 발전량 중 신재생발전 공급량을 분석한 결과 △2013년 6.1% △2014년 6.4% △2015년 9.3% △2016년 11.5% △2017년 13.2%를 기록했다.

다른 주목할 점으로 기존 전력 공급 방식에 없던 LNG 발전이 추가된다.

지금까지 제주 도내 전력 공급은 유류 발전소, 신재생에너지, 고압직류송전(HVDC) 등 3객 방식을 통해서만 이뤄졌다. HVDC란 육지 발전소(전남 해남)에서 생산된 전력을 약 100km 거리, 15만kW 용량의 매설된 해저케이블 2회선을 통해 제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날씨와 환경에 영향을 받는 신재생에너지는 전력 공급 불안정을 조절을 할 수 있는 ‘기저 발전’의 병행이 반드시 필요하다. 제주도는 기존에 유류 발전을 기저 발전으로 이용해왔다. 하지만 유류 발전이 탄소를 배출하는 점이 현 정부 에너지 정책에 위배되면서 친환경 방식인 LNG로 교체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이에 발맞춰 제주에 LNG 발전설비 시설이 건설되고 있다.

먼저 제주 내 사상 첫 LNG 발전소가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2016년 6월 중부발전이 착공한 제주시 삼양동 LNG 복합화력발전소(240MW)가 오는 8월 준공될 예정이다. 남부발전이 남제주화력발전소 인근에 짓는 LNG 복합화력발전소(160㎿)도 2020년 완공 목표로 건설되고 있다. 제주도는 LNG 발전을 통해 불안한 전력 수급을 대처해나갈 방침이다.

중부발전 관계자는 “LNG 복합발전은 사이클에 가스터빈, 증기터빈을 돌려 2번 발전하는 방식이라 석탄 발전보다 발전 효율이 높다”며 “앞으로 신재생에너지와 함께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원으로 미래 제주도 전력 수급에 이바지 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지난해 기준 13.2%로 전국 평균 7.24%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에 일찍이 뛰어든 점도 있지만 신재생 공유화기금 등 자금 조성, 보급 확대, 에너지 복지를 위한 지자체 차원의 투자가 수반된 점이 제주에서 꾸준하게 신재생 비율을 증가시킨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 에너지 전문가는 “육지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 발전 유치에 겪고 있는 부작용은 악재가 아니라 성장통에 불과”이라며 “결국 사업의 성패는 부작용이 아니라 정부와 지자체가 도입 초기 부작용에 대처하고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얼마나 기울이느냐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