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 북측 판문각 모습

[이뉴스투데이 이세정 기자] 남북정상회담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주요 기업 10곳 중 절반은 향후 대북사업을 추진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계는 향후 남북관계를 긍정적으로 전망하면서도, 정상화까지 최대 5년이 걸릴 것이라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남북 경제협력 관련 회원사와 개성공단 입주기업 등 200여개사(57개사 응답)를 대상으로 실시한 '남북경제관계 전망 설문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절반(51.0%)은 '향후 장기적 관점에서 대북 투자 및 진출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도로·철도 등 인프라 개발'(33.3%), '새로운 사업기회 모색'(33.3%), '저렴한 노동력 활용'(15.2%), '동북아 해외거점 확보'(9.1%) 등을 꼽았다.

반면 '투자 또는 진출 의향이 없다'고 답변한 기업(24.5%)은 대부분 정치경제 불안정(57.1%)을 이유로 북한과의 사업이 아직 이르다고 판단했다.

응답 기업의 82.5%는 향후 남북관계를 희망적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천안함 피격에 따른 5.24 조치 이후 중단된 남북 경제관계의 정상화 시점은 '2∼5년 이내'(49.1%)라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1년 이내'라는 응답은 22.8%였고 '5년 이상'이라는 답변은 19.3%로 집계됐다.

기업들은 북한 비핵화 진전에 따른 남북 경제관계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우선 정책과제로 '과거와 같은 경협중단 사태 재발 방지·투자보장 등의 불확실성 제거'(43.9%)를 주문했다. 또 '정권변동과 관계없는 일관성 있는 대북정책 추진'(26.3%) 등에 대한 의견도 제시했다.

전경련은 냉·온탕을 오가는 남북관계로 지난 30년간 남북 경협이 부침을 겪으면서 관련 기업들이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고 지적했다.

2016년 통일부 실태조사에 따르면 개성공단 관련 261개 기업이 신고한 피해 금액은 약 9446억원이다. 금강산투자기업협회 소속 기업의 매출 손실 피해 추정액도 5739억원에 달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본부실장은 "정치적 변동에 따른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면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북한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어렵다"며 "기업이 안정적으로 남북경협을 추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