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본사 전경

[이뉴스투데이 김정일·정상명 기자] 지난해 대우건설의 빅배스를 계기로 건설업 전반에 걸쳐 해외부실 현장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는 가운데 국내 대형건설사들이 대부분 양호한 재무안정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이뉴스투데이>가 국내 대형건설사 5곳의 재무안정성을 분석한 결과 현대건설이 가장 양호한 수준의 부채비율과 이자보상배율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채비율은 부채의 총액을 자본총액으로 나눈 수치로 기업의 재무안정성을 평가하는 지표다. 통상적으로 부채비율이 200%를 초과하면 재무구조가 불량하다고 판단한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1보다 클 경우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비용을 지불하고 남는다는 의미다. 반면 1배 미만의 수치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 조차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해 부실기업으로 평가한다.

<자료=이뉴스투데이 취합>

현대건설은 국내 건설사 맏형답게 조사대상 중 가장 양호한 재무안정성을 기록했다. 1년 간 부채비율이 155%에서 141%로 감소했으며, 이자보상배율도 8.13배에서 12.39배로 크게 개선됐다. 

현대건설의 재무가 안정화된 것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 개선된 것과 부채가 감소한 것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9월~10월 2100억원, 지난 3월 1000억원 가량의 회사채를 상환했다.  
 
올해 하반기에도 국내 주택사업 진행과 해외 프로젝트 수주에 따른 실적개선을 노리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오는 8월 고덕주공3단지 재건축과 북아현 1-1구역을 재개발한 '북아현 힐스테이트'를 분양할 예정"이라며 "중남미 플랜트 수주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대우건설 최근 주가 추이 <자료=네이버증권>

대우건설은 지난해 실시한 빅배스로 인해 부채비율이 크게 증가했다. 지난해 1분기 274.22%였던 것이 올해 1분기 346.49%로 급등했다.

업계에서는 겉으로 보이는 재무안정성은 하락했지만 오히려 내실은 강화됐다는 평가를 내린다. 부채비율이 급증한 것은 지난해 해외 사업장의 부실을 털어내며 기록한 손실이 자본을 깍아먹었기 때문. 

하지만 지난해 보수적으로 반영한 해외사업장 손실의 반사효과로 인해 올해 1분기 대우건설은 221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 분기 기준 사상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이에 따라 이자상환능력도 확연한 개선세를 보인다. 지난해 1분기 3.45배였던 이자보상배율은 10.34배로 상승해 업계 최고수준의 재무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주가도 불확실성 해소와 실적개선에 부응해 상승세다. 빅배스를 발표한 지난 2월초 한주당 5800원대 였던 대우건설의 주가는 지난달 23일 8180원까지 올라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우건설의 경우 국내 건설사의 아킬레스건으로 불리는 해외 사업장 부실을 모두 털어냈기 때문에 미래 가치를 긍정적으로 본다"고 말했다.

<자료=이뉴스투데이 취합>

대림산업도 올해 초 이란과 터키 등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안정된 성적표를 받았다. 부채비율은 149.52%에서 144.13%로 5%포인트 가량 하락했으며, 이자보상배율도 3.8배에서 4.64배로 0.84배 증가했다.

국내 건설사 중 이란 시장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뽐내는 대림산업은 박티아리댐 수력발전댐 공사 계약도 앞두고 있어 하반기 전망이 기대되는 상황. 

또한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따른 LNG발전사들의 수혜가 예상됨에 따라 자회사의 실적개선도 기대된다. 대림산업이 지분 70%를 보유한 대림에너지는 올해 1분기 178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전년동기(70억원) 대비 154% 수익이 확대됐다.

반면 GS건설은 307.12%의 부채비율을 기록하며 전년동기(274.79%) 대비 32%포인트 가량 악화돼 여전히 부채감축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올해 1분기만 이자비용으로 371억원이 빠져나갔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2분기부터 시작된 적자로 인해 부채비율이 140.7%에서 171.06%로 다소 증가했다. 하지만 아직 부채비율이 200% 미만이며, 이자보상배율도 6.88배로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1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정상화를 위한 잰건음을 이어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형 건설사들은 여전히 과거 저가수주하거나 수익성이 악화된 해외 사업장 리스크가 상존해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