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이상헌 기자] 해운불황의 여파로 조선업이 일본, 중국에 밀려 3위로 추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그리스 등 유럽 해운강국의 성공 신화를 배울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선주협회와 한국선박해양이 최근 해운사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정책개발, 중·소형선사 지원 확대를 골자로 한 업무협약을 맺었으나 업계에서는 만시지탄에 해양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실제 중국 정부가 불황 탈출을 위해 펼쳐온 정책은 호화찬란했다"며 "리커창 총리가 직접 그리스 정부와 비지니스 계약을 체결해 업황을 관리하는 동시에 중국정부가 지금까지 해운4사에 지원한 금액만 30억위안이 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일본도 마찬가지어서 "아베 정부는 오는 2018년까지 자국 신조선 건조량을 2200만GT로 늘리기 위한 작업을 진행해오고 있으나 한국의 선박금융은 걸음마 단계에 지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이 관계자는 "한국의 조선산업은 벌크 등 저부가가치선 건조를 거의 포기하다시피 하고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현대중공업, 대우중공업, 삼성중공업 조선3사 주도하에 LNG운반선 등 고부가가치선에만 편중된 포트폴리오를 가졌다"고 말했다. 

실제 영국의 해양연구기관 클락슨 리서치 조사에 의하면 일본의 선박 발주량은 2015년 14만GT로 급상승하며 그리스를 넘어서며 세계 1위로 등극했다. 중국이 14만GT를 기록하며 2위를 이었다. 

반면 5만GT였던 한국 선사의 발주량은 3.5만GT로 급감하며 세계 4위로 추락했으며 건조능력도 중국에 10% 가량 뒤쳐진 한국이 30%에 그쳤다. 

이에 따라 도크가 비어가고 울산, 부산, 거제, 통영, 사천, 고성 등 조선밀집 지역이 공동화되는 현상을 막으려면 인력 구조조정을 통한 고임금 구조 개선과 동시에 그리스식 선박금융 강화를 통해 국내 발주를 이끌어내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그리스는 세계 선박량의 15%를 보유하고 있는 명실상부한 해양강국으로 특히 신조선 금융에 참여하고 있는 은행은 31개사로 76%를 차지하고 있다.

신조선 금융 규모는 2010년 기준 120억 달러로 이는 전체 그리스 선박금융 규모인 670억 달러의 18%를 차지했다. 하지만 2012년 치프라스 정권의 등장으로 경제 위기를 겪으며 외국 투자자들이 빠져나가는 추세다.

일본과 중국은 이 같은 기회를 틈타 자국 해운과 조선 산업을 일으켜 강국으로 도약하고자 전략적 투자를 국가적으로 실행했다는 설명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선박금융은 그 제도를 배우는 데 시간이 소요되는 특수 분야"라며 "최근의 금융위기와 해운경기 악화는 아시아권 금융기관에게 선박금융시장으로의 확대를 위한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대승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도 "한국은 수출입 비중이 매우 높은 무역대국이면서도 해운선대는 매우 약한 상황"이라고 지적하며 "조선업이 단일 수주산업인 점을 고려해 불황기 조선사들의 재무안전성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선박금융시장의 육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