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이 운용 중인 P-3C 해상초계기. [사진=해군]](https://cdn.enewstoday.co.kr/news/photo/202511/2351010_1176677_594.jpg)
[이뉴스투데이 김재한 항공·방산 전문기자] 해군의 노후 P-3C 해상초계기를 교체하는 사업이 내년 윤곽이 잡힐 전망이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해군이 노후한 P-3C 교체를 최우선 과제로 두고 있는 가운데, 내년 하반기에 국내 개발과 국외구매 방식을 놓고 사업 추진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비즈니스제트기를 기반으로 ‘한국형 해상초계기’를 제안한다는 구상이다.
해군에 따르면, 현재 운용 중인 P-3C는 1995년부터 도입된 기체로, 최대 12시간 이상 비행할 수 있어 동·서·남해 전역에서 해상초계 임무를 수행해 왔다. 다만 기체 노후와 부품 단종에 따른 정비 부담이 커지면서 운용 효율성이 떨어져 전력 공백 우려가 계속 제기돼 왔다.
더욱이 최근에는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위협이 고조되면서 대잠작전 능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상황이다. 방위사업청과 해군도 오래전부터 P-3C를 대체할 해상초계기 도입을 검토해 왔다. 하지만 예산 우선순위에서 후순위로 밀리거나 최근 획득 제도 변경 등의 영향으로 사업 추진 시기가 계속 늦춰진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실제로 정부는 올해부터 획득 절차를 과거 분리돼 있던 선행연구, 전력소요 검증, 합참 분석실험을 하나로 묶어 ‘통합소요기획’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획득 절차에 P-3C 교체 사업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관련 규정 개정은 완료됐지만 시행령과 예산 지침 정비가 일부 남아 있어 일정이 조율되는 단계”라며 “내년 상반기 소요 연구를 거쳐 하반기에 사업 추진 전략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글로벌 6500 비즈니스제트기를 기반으로 한 ‘한국형 해상초계기(KP-X)’ 제안을 준비 중이다. KAI 관계자는 “해군의 요구조건을 반영해 6개의 임무콘솔을 탑재한 구조로 설계했다”며 “이는 기존 5개로 구성된 임무콘솔과 비교해 임무 확장성과 장비 통합 여유를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KAI가 P-3C를 대체할 해상초계기로 구상 중인 한국형 해상초계기. [사진=김재한 기자]](https://cdn.enewstoday.co.kr/news/photo/202511/2351010_1176724_1156.jpg)
또한 관계자는 “플랫폼으로 사용될 기체인 글로벌 6500은 활주로 길이에 대한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고, 해군의 P-3C 정비시설과 격납고 시설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재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국산 플랫폼은 개발 후에도 성능개량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수명주기 전 단계에서 비용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관계자는 강조했다.
무장·탐지 체계 구성도 국산 어뢰인 청상어 경어뢰 약 4발, 소노부이 120발과 이를 발사할 회전식 발사기 2대가 기본안으로 검토되고 있다. 또한 탐지·감시체계는 레이더를 비롯해 전자광학·적외선(EO·IR), 전자지원(ESM) 장비 등 해양 감시·초계 임무 수행에 필요한 센서와 전자전 장비가 통합된다.
이들 임무장비에 대한 통합은 국내 방산업체들과 협력할 전망이다. 관계자는 “레이더, 전자전, 임무장비 개발을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등과 협력해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와 같은 체계 통합 방식은 향후 임무장비 교체와 성능개량 시 비용과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 운용 관점에서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국산 초음속 공대함 미사일은 현재 개발이 보류된 상태여서 초기 단계에서는 하푼 또는 합동타격미사일(JSM)을 통합하는 방안을 우선 검토하고 있다. 대신 KAI는 향후 국산 공대함 미사일이 개발되면 체계 통합을 통해 단계적으로 무장을 완전 국산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수요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우선 해군은 노후 P-3C와 P-3CK 20여대를 교체해야 하고, 해양경찰청도 약 15대의 해상 감시용 항공기를 도입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해외 시장에서도 90여대 이상의 중형급 해상초계기 잠재 수요가 확인되고 있어 사업이 추진될 경우, 수출 기회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계자는 “해상초계기는 단순히 교체 사업이 아니라 향후 40~50년간 운용될 전략 자산”이라면서 “내년은 사업 방향이 결정되는 중요한 분기점일 될 만큼 국내 연구개발로 결정된다면 국내 수요는 물론, 수출 가능성과 기술 자립도 측면에서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번 해상초계기 사업도 단일 기종 개발로 끝내지 않고 장거리 정찰기(ISTAR), 공중급유기, 대형 수송기 등 파생형 확장 전략까지 중·장기적으로 연계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