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유영길 기자] 국내 증시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에 이어 주한미군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발표로 다시 요동치고 있다.

이는 사드 시스템에 포함된 X밴드 레이더로 인해 중국이 미국 감시권에 들어가게 돼 중국은 미사일 부대 전진 배치 등 군사적 대응 조치를 염두하고 있다는 발표 때문이다.

즉, 한중 관계 악화가 불가피해지면서 중국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경제측면에서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

실제, 지난 8일 국내 사드 배치발표로 국내 증시는 떨어지며 장을 마감했다. 그러나 사드 우려도 잠시 11일 주가는 다시 상승세를 기록하며 코스피는 25.44포인트(1.30%) 오른 1988.54, 코스닥은 4.65포인트(0.67%) 오른 697.25로 장을 마감했다.

중국과 우리나라의 군사적 직간접적으로 충돌이 예상되면서 방위산업 관련 기업 주가는 강세를 보였다. 반대로, 화장품 및 여행 등 중국 소비와 관련된 국내 기업의 주가는 약세를 보였다.

이날 방위산업 관련주를 주도한 빅텍은 전 거래일보다 350포인트(10.51%)오른 3680, 휴니드는 650포인트(4.85%)오른 1만4050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외 한국공항우주, 한화테크윈, 삼영이엔씨 등도 상승했다.

화장품 관련 종목인 LG생활건강은 전 거래일보다 4000포인트(3.55%) 내린 108만8000에 장을 마감했다. 이외 한국화장품 전 거래일보다 410포인트(4.08%)내린 9640, 제닉 전 거래일보다 1200포인트(5.02%)내린 2만2700으로 장을 마감했다.

화장품 뿐 아니라, 여행 및 레저 관련 종목도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하나투어는 이날 2100포인트(2.63%)내린 7만7800으로 마감했다. GKL과 파라다이스 등 카지노 종목도 주가가 3% 이상 하락했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8일 한반도 사드 배치 소식이 전해지며 주식시장은 화장품, 여행 등 중국 관련주 중심으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며 “미국과 중국간 외교적 군사적 갈등이 고조되고 분리주의적 움직임이 확산, 중국의 무역 보복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라고 말했다.

즉, 외교적 긴장 관계, 빠른 시일내 무역 보복 우려 등이 관련 업종의 멀티플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는 있다는 의미다.

반대로, 사드 정식 배치까지 1년이라는 시간이 남아있고, 향후 우리나라가 중국과 러시아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적극적인 외교전이 전개된다면 부작용은 최소화될 것이라는 박소연 연구원의 분석이다.

박소연 연구원은 “오히려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미국과 중국간 균형 외교가 가져올 업종간 헤게모니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국내증시 전반에 걸친 악재보다 일부 중국 소비자에 대한 노출도가 높은 일부 업종에 대한 국지적인 악재로, 중국 소비주들의 충격은 장기화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곽병열 현대증권 연구원은 “사드배치에 대해 오직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해서만 운용될 것이라는 국내 정부의 입장과 미국 정부도 이번 사드 배치와 연결돼 있다는 점에 있어 미국의 대중 외교라인을 통해 중국과의 오해풀기를 시도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대선정국 중 대중국 무역역조 문제가 화두 중 하나라는 점에서 중국이 선제적으로 보호무역 강화 카드를 꺼내들기가 어렵기 때문에 중국 소비주들의 충격은 장기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중국 외교부가 사드배치 발표 1시간도 되지 않아 강렬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 입장을 담은 성명을 내놓으면서, 이에 대한 항의의 의미로 주중 한국과 미국 대사를 긴급히 불러드리는 등 중국정부 및 중국 소비자들의 반한 감정은 일시적일 것으로 보인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내 반한 감정 확산여부는 이전에 센카쿠 열도 문제를 둘러싼 반일 감정 확산과 같은 리스크다”며 “반한 감정 확산이 한국산 제품의 불매운동과 한국 방문 감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브렉시트 여운이 진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드 논란은 금융시장에 단기적으로 부담을 줄 수 있는 이벤트인 것은 분명하지만, 중장기적으로 영향이 지속될지 여부는 대중 통상 마찰이 확대될지에 달려있다”고 덧붙였다.

 

키워드
#N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